인간의 몸이 너무 크다고 생각하며
나는 한낮에 걷고 있었죠
처형터라 물이 필요해 우물을 팠는데
민물조개가 많이 나왔다는 곳
이후 그곳에 지어진 건물을 직장 삼으면서
오랜 시간이 지나 여기 있구나, 감각하면서는
인간의 몸이 너무 크다고
나는 움직임이 느려지기도 했죠
걷다가 사로잡히기도 했으니까
흰 개가 지나다니는 합정
다리가 세 개뿐인 흰 개와 함께 걷는 산책자 인간
그 둘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둘 사이 어디 즈음 마중나갈 수도 있을까
복을 빌어주었는데
오래 남을 장면들은 무엇인가
혼자 떠올려보았어요
언제였나, 우리
합정에서
인간의 미련이 중요하다고 중얼거렸던 때는
함께해본다는 것이
끝까지 인사하려 한다는 것이 안태운(1986~)
개미만큼 인간의 몸이 작아진다면,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것들도 한없이 작고 낮아지겠지. 욕망도 한없이 작아지겠지. 시인은 “인간의 몸이 너무 크다고 생각”하면서, 조개우물이라 불렸던 합정의 거리를 걸었다. “다리가 세 개뿐인 흰 개와 함께 걷는 산책자 인간”을 지켜보면서, 그 “둘 사이 어디 즈음 마중” 나가 “복을 빌어”주면서.
흰 개는 인간의 바깥을 향하여 걷고 있을지도 모른다. 인간이 세계라고 부르는 것이 비인간인 흰 개에게는 바깥일 수도 있다. 시인은 우리에게 인간의 몸이 얼마나 큰지 자꾸만 환기시키며, 다리가 세 개뿐인 흰 개의 몸을 새롭게 감각하게 한다. 흰 개의 사라진 다리 아래로 부는 바람, 오래전 조개들이 모여 울기도 했을 우물 바닥, 큰 몸으로 점점 더 많은 것들을 점유해가는 인간의 미련에 대해 시인은 작은 사람이 되어 작게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