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practicing my dance moves.”
중학교 1학년 영어 수업 시간, 학생들이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에 나온 문장을 따라 읽으면 AI 교과서는 학생별로 원어민 억양과 비교해 억양 그래프를 표시한다. practicing은 76점, moves는 100점 등 음절별 발음 유창성도 점수로 비교해준다. 학생들이 현재진행형 등 문법에 막힐 땐 AI 챗봇에 현재진행형을 검색한다. 챗봇은 “현재진행의 형태는 ‘be동사의 현재형(am, are, is)+동사~ing’이며 지금 하고 있는 일을 표현합니다”라고 답한다.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은 작문을 이어나간다.
내년 3월 초등학교 3·4학년, 중·고등학교 1학년 영어·수학·정보 교과에 도입되는 AI 디지털교과서 실물이 공개됐다. 교육부는 학생별로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진다는 점을 AI 교과서 도입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꼽는다. 그러나 시연을 봤을 때 이미 시중에 나온 디지털교육 학습지와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점은 여전히 한계로 보였다.
교육부는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에게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영어 AI 교과서 2종을 시연했다. 이날 시연에 참여한 발행사 두 곳은 단원평가·진단평가·형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영역별 학습 성취 분석을 해주는 기능을 핵심 기능으로 설명했다. 교사는 AI가 분석한 학생들의 학습 현황, 영역별 성취 현황을 확인해 학생들에게 개별 콘텐츠나 과제를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밀크T’ ‘아이스크림 홈런’ 등 사교육 시장의 디지털교육 학습지와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는 지적은 아직 해소되지 않았다. 발음 분석, 글쓰기 첨삭, 평가 채점, 피드백 등 교사의 역할이 사라지고 AI에 의존한다면 교실에서 자율학습을 하는 것에 불과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한다. 맞춤형 ‘교육’이 아니라 맞춤형 ‘학습’에 그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수학 AI 교과서를 보면 기존 문제지나 학습지와 다르지 않다는 점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고등 공통수학 발행사 한 곳은 수업 시작 전 ‘선수학습 확인’으로 스스로 진단평가를 해 부족한 개념을 확인하도록 했다. ‘AI 추천 학습’ ‘학습맵을 통한 학습’ ‘오답노트 복습’ 등 탑재된 기능 모두 AI가 수준을 진단한 뒤 추천하는 문제들을 풀도록 했다. 시연에 참석한 발행사 관계자는 “사교육 콘텐츠는 개인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자기 맞춤형 학습이라고 한다면 AI 교과서는 교수 학습 모델이 들어간 교과서”라고 설명했다.
챗봇으로 들어간 생성형 AI가 잘못된 답변을 내놓을 가능성도 과제로 남아 있다. 앞서 챗봇이 “독도는 영토분쟁지역”이라고 답해 논란이 일었다. 교육부는 이날 “발행사 대상으로 기술 오류, 발생 가능성, 답변의 적정성 여부에 대해 전날까지 최종 점검을 완료했다”며 “오는 4일부터 13일까지 교사 1450명으로 구성된 현장 적합성 검토단을 구성해 (오류 여부를) 검토하고, 오류 발생 확인 즉시 발행사에 전달해 수정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