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에 활용되는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중국 수출을 통제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피해가 우려된다.
2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제품으로 AI 가속기를 가동하는 데 사용된다.
상무부는 수출통제에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Foreign Direct Product Rules)를 적용했다. 미국 외 국가에서 생산되더라도 미국산 장비와 기술 등이 사용됐다면 수출통제에 따라야 하는 규정이다. 상무부는 HBM의 ‘메모리 대역폭 밀도’가 평방밀리미터당 초당 2기가바이트(GB)보다 높은 제품을 통제하기로 했다. HBM의 대중 수출 통제를 통해 중국의 AI산업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세계 HBM 시장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이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이번 수출통제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로이터 통신은 “HBM2 이상의 수준에 해당하는 메모리 AI칩의 수출이 제한된다”며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만 조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도 “HBM 판매 규제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국 상무부의 수출 통제에 대해 중국 상무부는 “미국은 국가안보의 개념을 계속 확대하고 수출 통제 조치를 남용하며 일방적인 괴롭힘을 행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에 단호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