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 피해 북상하는 사과…강원 재배지 7배 증가

안광호 기자

농협, 최근 10여년 분석…‘최대 산지’ 경북 농가 수 22% 감소

‘전통’ 후지 점유율 줄고 ‘개량종’ 미얀마 늘어…품종까지 변화

더위 피해 북상하는 사과…강원 재배지 7배 증가

기후변화 영향으로 사과 주 생산지가 북상하면서 강원도 내 사과 재배면적이 최근 10여년간 약 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최대 생산지인 경북지역의 사과 재배 농가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일 농협중앙회가 발간한 ‘사과 주산지와 품종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강원도 내 사과 재배면적은 2010년 216㏊(헥타르·1㏊는 1만㎡)에서 지난해 1679㏊로 677% 증가했다.

반면 기존의 주요 산지인 경북지역의 사과 재배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농가 수는 2010년 2만3198호에서 지난해 1만8164호로 22% 줄었다.

다만 경북은 여전히 국내 최대 사과 산지로, 사과 생산량(지난해 기준 약 24만5000t)과 농가 수, 재배면적(2만46㏊)에서 모두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지난해 농협 기준으로 사과 출하량을 보면, 경북 영주·청송·안동·봉화, 경남 거창 등 5개 지역의 출하량이 국내 전체의 48%를 차지했다.

사과 품종의 변화도 눈에 띈다. 품종별로 보면 후지, 미얀마, 홍로, 아오리(쓰가루), 미시마 등 5개 품종이 지난해 농협 출하량과 도매시장 거래량에서 각각 93%, 92%를 차지했다. 이 중 전통 품종인 후지의 점유율은 감소세지만, 후지의 개량 품종인 미얀마 거래는 늘고 있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만생종(10월 하순 이후 출하)인 미얀마는 후지의 우성사과인자만 고루 담고 있는 품종으로, 당도가 높고 육질이 치밀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며 “미얀마의 시장 점유율 상승이 기후변화 영향 때문인지는 추가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노란색의 중생종 사과인 시나노골드 등 기존 5대 품종 안에 들지는 않지만 기후변화와 농업 환경변화에 따라 새롭게 주목받는 신품종 거래량도 늘고 있다고 농협중앙회는 설명했다.

농협중앙회와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사과는 연평균 기온 8~11도(생육기 평균기온 15~18도)의 서늘한 곳에서 잘 자란다. 1981년부터 2010년 사이엔 전국 어디에서나 사과를 재배했지만, 2030년대에는 강원과 충북 등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적인 아열대 기후화로 인해 2070년대엔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사과 재배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도 정선, 양구, 홍천, 영월, 평창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 재배면적을 지난해 931㏊에서 2030년 2000㏊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해 사과 생산지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사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품종 개발과 작물 전환 등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산불로 피해 입은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강물에 입수하는 풍습, 네팔 마다브 나라얀 축제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주님의 축일 맞이 아기 세례
2025 도쿄 오토 살롱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