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10곳 중 7곳은 내년 투자 계획을 아직 세우지 못했거나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지난달 13∼25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56.6%는 ‘내년 투자 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1.4%였다.
지난해 같은 조사와 비교해 ‘내년 투자 계획을 아직 수립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6.9%포인트(P) 증가했고, ‘투자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6.1%P 늘었다. 반면 ‘계획 수립’은 32.0%로 지난해보다 13.0%P 감소했다.
투자 계획이 미정인 기업들은 그 이유로 조직개편·인사이동(37.7%), 대내외 리스크 영향 파악 우선(27.5%), 내년 국내외 경제전망 불투명(20.3%) 등을 꼽았다.
내년 투자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에서는 투자 규모를 올해보다 축소하는 경우(28.2%)가 확대하는 경우(12.8%)보다 많았다.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한 비율은 59.0%였다. 지난해 조사까지만 해도 투자 확대(28.8%)가 축소(10.2%)보다 많았는데 1년 만에 역전된 것이다.
기업 투자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는 글로벌 경기 둔화(42.9%)가 가장 많이 뽑혔고, 고환율 및 물가 상승 압력(23.0%),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공급망 교란 심화(13.7%)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투자 저해 요인으로는 설비 및 연구·개발(R&D) 투자 지원 부족(37.4%),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규제(21.3%), 설비투자 신·증축 관련 규제(15.0%) 등이 꼽혔다.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으로는 금융 지원 확대(21.0%), 세제 지원 강화(16.9%), 지배구조 및 투자 관련 규제 완화(15.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