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고용 이유 1위는…‘내국인 구인난’에서 ‘낮은 인건비’로 변화

강병한 기자
지난 9월25일 강원 양구군 해안면의 한 밭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파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월25일 강원 양구군 해안면의 한 밭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파를 수확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기업들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내국인 구인난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300인 미만 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외국인 근로자 활용 현황 및 정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근로자 고용 이유를 묻는 말에 절반에 가까운 48.2%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라고 답했다. 이어 ‘내국인 구인 어려움’(34.5%), ‘2년 초과 고용 가능’(6.8%), ‘낮은 이직률’(6.5%) 등의 순으로 답이 나왔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92.7%가 ‘내국인 구인 어려움’이라고 답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지난해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를 꼽은 비율은 2.9%에 불과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제도적 애로 사항(복수 응답)으로는 54.5%가 ‘사업장별 고용허용 인원 제한’이라고 답변했다. ‘짧은 체류 허용 기간’이라는 응답도 41.3%나 됐다.

내년 외국인 근로자(E-9) 도입 규모를 묻자 89.3%는 ‘올해 수준(16만5000명)을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8.3%는 ‘도입 규모 상한(쿼터제)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외국인 근로자(E-9) 도입 규모는 2020년 5만6000명, 2021년 5만2000명, 2022년 6만9000명, 지난해 12만명, 올해 16만5000명으로 커지고 있다.

또 조사 대상 기업의 27.8%는 ‘현재 충분한 수준의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 사유로는 ‘사업장별 고용허용 인원 제한’이 40.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경총은 “전체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 외에도 사업장별 허용 인원 제한이나 직종 제한 등의 규제가 기업의 원활한 외국인력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가 외국인 가사 근로자를 도입해 가정에 알선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53.2%가 ‘저출생 대응이나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Today`s HOT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미국의 폭설로 생겨난 이색 놀이 인도네시아의 뎅기 바이러스로 인한 소독 현장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인도네시아의 설날을 준비하는 이색적인 모습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휴전 이후의 가자지구 상황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각 나라 겨울의 눈보라 치고 안개 덮인 거리 다수의 사망자 발생, 터키의 한 호텔에서 일어난 화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