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매출 타격 불가피…중국 대체할 ‘큰손’ 뚫어야

김상범 기자

SK, 물량 대부분 미국 수출

삼성은 중국 판매량 적잖아

“우려할 수준 아냐” 반론도

삼성 매출 타격 불가피…중국 대체할 ‘큰손’ 뚫어야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의 ‘인공지능(AI) 굴기’를 막는 제재의 일환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수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국내 메모리 업계, 특히 삼성전자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삼성전자로서는 중국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엔비디아 같은 ‘큰손’과의 거래를 뚫어야 할 필요성도 커졌다.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 개정안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중국을 비롯한 ‘무기금수국’에 내년부터 HBM 수출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대상 품목은 현재 생산 중인 모든 HBM이다.

HBM은 D램을 여러 장 쌓아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인 메모리다.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AI 가속기’ 등의 고성능 칩에 탑재돼 연산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생성형 AI 열풍으로 거대 테크들이 AI 인프라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으면서 HBM은 메모리 제조사들의 주요 매출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 상무부의 이번 조치는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에 근거를 두고 있다. 미국 외 제3국에서 생산된 HBM 및 반도체 장비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장비 등이 사용됐다면 이를 준수해야 한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 상당수가 미국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대다수가 적용 대상이다.

국내 메모리 제조사 중 SK하이닉스는 HBM을 거의 전량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중국 판매량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기업들의 AI 열풍과 맞물리면서다.

삼성전자는 5세대 ‘HBM3E’ 같은 최신 제품에서는 SK하이닉스에 뒤처지지만, 레거시(구형) 제품인 HBM2(2세대)·HBM2E(3세대)에서는 안정적인 수율과 공급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같은 이유로 화웨이·바이두·텐센트 등 중국 테크들의 주된 ‘사재기’ 대상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미국 제재를 예상한 중국 업체들의 HBM 구매 행렬이 올해 초부터 이어져 삼성전자 HBM 매출의 약 30%를 차지한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로서는 중국에서의 매출 감소분을 다른 거래처에서 메워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HBM3E를 납품하기 위한 품질 테스트 과정을 밟고 있다. 6세대 ‘HBM4’ 개발도 진행 중이다.

HBM 제재의 파급력이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반론도 나온다. 중국에 수출되는 구형 HBM의 단가가 애초에 그렇게 높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중국 HBM 매출 비중도 30%까지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미국의 이번 조치가 중국의 HBM 자립 시도를 부채질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와 화웨이 등이 HBM2E 개발에 나선 상황이다. 미국 제재로 중국 내 ‘HBM 가뭄’이 현실화한다면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적으로 쏟아부어 조만간 양산 단계로 접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Today`s HOT
주님의 축일 맞이 아기 세례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대만 해군의 군사 훈련 2025 도쿄 오토 살롱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프랑스를 방문하다.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레바논의 새 대통령, 조셉 아운의 취임식 구 격전지의 시리아 지역.. 활기를 되찾는 사람들 2025 앨비스 페스티벌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