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등 언론 관련 시민사회단체들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막겠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언론노조 등은 이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온 국민이 피로 쓴 민주주의와 언론자유의 반세기 동안의 역사적 성취와 6공화국 헌법 정신 자체를 부정하는 반민주·반역사·반자유의 폭거”라며 “일체의 정치 활동을 금지하고 모든 언론과 출판에 대한 계엄사 통제를 선포하는 등 시대착오와 반헌법으로 점철된 계엄 포고령은 윤 정권이 정상 궤도에서 일탈한 독재정권임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상식적, 반민주적 비상계엄 선포는 비판언론과 정치적 반대 세력은 물론이고 국민의 기본권과 주권을 침탈하는 대국민 전쟁 선언”이라며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으로 국민을 위협하는 대통령은 더 이상 그 자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며 대통령 하야를 요구했다.
언론 관련 단체 ‘혐오와 검열에 맞서는 표현의 자유 네트워크(21조넷)’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전쟁 상황도 아닌 평시에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계엄군은 국회 본청 출입문을 봉쇄하고 전투기가 국회 공중을 돌고 있다”며 “말로는 ‘자유’를 외치고 국민의 표현의 자유는 안중에도 없는 태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계엄령 선포는) ‘정부에 쓴소리하는 세력’을 반국가세력, 북한 공산 세력으로 몰아 표현의 자유를 막겠다는 선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며 “‘입틀막’을 넘어 군대를 동원해 언론과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봉쇄하겠다는 것”이라 했다.
이들은 “‘비상계엄’ 선포는 그 자체로 정부의 무능함을 드러낸 행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윤 정부의 몰락에 집중하는 결과를 재촉하는 것”이라며 “시민들은 이 무도한 정부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거꾸로 돌리려는 짓을 가만히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이날 오전 1시쯤 국회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2시간30분 만에 계엄 해제 요구안을 가결했다. 계엄법에 따르면 국회가 계엄 해제를 의결하면 윤 대통령은 지체 없이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