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여당인 국민의힘 내 대응은 엇갈렸다. 한동훈 대표는 바로 “대통령의 계엄 선포는 잘못 됐다”며 “국민과 함께 막겠다”고 선언했고, 친한동훈(친한)계 의원들은 본회의에 참석해 비상계엄 해제에 찬성표를 던졌다. 반면 추경호 원내대표는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은 채 국회 원내대표실에 머물렀고, 친윤석열계 의원들은 국회 주변에 모였지만 계엄 해제 표결에 동참하지 않았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위와 같이 적으며 “즉각 국회 차원에서 계엄 해제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본회의를 열 것이란 소식을 들은 한 대표와 서범수 사무총장 등 친한계 인사들은 국회로 이동했다. 한 대표는 다시 SNS에 국회 진입을 시도하는 군을 향해 “군경에가 말한다. 반헌법적 계엄에 동조하고 부역해선 절대 안된다”고 경고했다. 이후 진행된 본회의에 국민의힘에선 곽규택·김상욱·김성원·김용태·김재섭·김형동·박수민·박정하·박정훈·서범수·신성범·우재준·장동혁·정성국·정연욱·주진우·조경태·한지아 의원 등 18명이 참석해 전원 찬성표를 던졌다. 대부분 친한계 의원이었다.
한 대표는 계엄 해제가 의결된 후 “집권여당으로서 이런 사태가 발생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위헌적 계엄 선포는 효과를 상실했다”고 밝혔다.
여권 유력 인사들도 갑작스런 비상계엄 선포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입장문에서 “계엄에 반대한다. 계엄은 철회돼야 한다”며 “시장으로서 시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도 입장문을 내 “지금의 비상 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비정상적 폭력”이라고 했다. 유승민 전 의원은 SNS에서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는 반헌법적 폭거”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적었다.
반면 친윤계는 이날 대부분 국회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친윤계 의원도 없었다. 40여명의 의원들이 여의도 당사 등 국회 주변에 모였지만 지도부의 지침이 없어 의원총회를 진행하기 위해 대기만 할 뿐이었다. 당사에서 만난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어떤 상황인지 공유를 받지 못한 채 당사로 오라고 해서 온 의원들이 많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표결하는 시각에 국회 본청에 있었지만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도 내지 않았다. 표결에 참여한 김상욱 의원은 추 원내대표가 당사로 의총을 소집한 데 대해 “추 원내대표가 의원들이 (국회에) 못 들어가게 계속 헷갈리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추 원내대표는 표결 후 기자들에게 “일련의 상황으로 인해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이러한 일련의 사태가 발생한 데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국회의장에게 들어올 수 있게 시간 달라고 말했는데, 의장이 지금 상황이 기다릴 수 없다고 해서 (표결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