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 양극화 ‘심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에
서울 5분위 배율 역대 최대
집값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3일 KB국민은행 월간 주택 시계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 가격 5분위 배율은 5.5로, 2008년 12월 통계조사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을 하위 20% 평균(1분위)으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분위 배율이 5.5라는 것은 상위 20% 아파트 한 채 가격으로 하위 20% 아파트를 평균 5.5채 살 수 있다는 얘기다.
2022년 5월 4.2였던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 8~9월 두 달 연속 5.4를 기록하다 지난달 5.5배까지 커졌다.
올해 초부터 주택 공급 불안, 금리 인하 등이 예상되자 강남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고가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크게 오른 것이 양극화를 심화시킨 원인으로 풀이된다.
특히 거래량과 상승폭이 확대된 올해 하반기 아파트 가격을 살펴보면 5분위는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는 반면 1분위는 등락을 반복하며 우하향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1분위 평균 가격은 4억9061만원, 5분위 평균은 26억8774만원으로, 1분위 아파트는 전달(4억9011만원)보다 0.11% 오른 반면 5분위 아파트는 전달(26억5117만원)보다 1.38% 상승했다.
즉 강남3구와 용산 등 일부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급격한 아파트 가격 상승이 5분위 배율 확대를 가져온 원인인 것이다.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 역시 10.93으로 역대 최대 격차를 보였다. 이는 상위 20% 아파트 한 채 가격으로 하위 20% 아파트를 11채 가까이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아파트 가격이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던 2020~2021년에는 지방의 아파트 가격도 동반 상승해 전국 5분위 배율(7.3~9.5)이 10을 넘지 않았다.
올해 하반기 들어 최대 격차가 난 것은 집값 강세를 보인 수도권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이 꾸준하게 오르는 동안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전국 기준 지난달 1분위 평균가는 1억1672만원으로 전월(1억1683만원)보다 0.1% 하락했으나 5분위 평균가는 12억7623만원으로 전월(12억6829만원)보다 0.6%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