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는 혼조로 마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프랑스의 정치권 갈등 여파로 장 초반 하락세를 그리다 오후 들어 낙폭을 회복하거나 강세로 돌아섰다.
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47포인트(0.17%) 내린 4만4705.5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73포인트(0.05%) 오른 6049.88, 나스닥종합지수는 76.96포인트(0.40%) 상승한 1만9480.91에 장을 마쳤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소식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3대 주가지수는 개장 이후 하락했다. 안전 선호 심리로 미국 국채가격이 상승 전환하고 달러-원 환율은 한때 1440원 이상까지 폭등하자 투자자들도 주식 매도로 대응하는 흐름이었다.
프랑스의 정권 붕괴 가능성도 뉴욕증시에 불안 요인이 됐다. 프랑스 정부가 내놓은 긴축 예산안에 야당이 반대하자 미셸 바르니에 총리가 예산안을 의회 표결 없이 강행 처리하기로 하면서 정국은 혼돈 그 자체다.
하지만 오후 들어 뉴욕증시는 반등했고 나스닥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컸다. 한국의 계엄 해제로 정국 불안감이 누그러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 상황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계속 불안 요소로 남을 공산이 크다.
에버코어ISI의 크리슈나 구하 글로벌 정책 전략 총괄은 “한국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그에 따른 국회의 계엄령 해제 의결로 전통적인 도피처에서 안전을 도모했던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며 “다만 전반적으로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지금까지는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혼란이 아직 글로벌 금융시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미국과 일본, 스위스로 안전 자산이 유입되고 있다”며 “한국은 세계 공급망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뉴욕증시는 비교적 완만하게 움직였으나 한국물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는 이날 가격이 요동쳤다.
아이셰어즈 MSCI 코리아 ETF(EWY)는 장 중 -7.1%, 프랭클린 FTSE 한국 ETF(FLKR)는 -6.7%, 매튜스 코리아 액티브 ETF(MKOR)는 -6.2%까지 낙폭을 확대했다. 이후 계엄 국면이 해소되면서 해당 ETF들은 장 후반 -1% 수준까지 낙폭을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