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잉여현금흐름 1년새 42조원 증가…삼성전자 21조원 최대

이진주 기자
CEO스코어 제공

CEO스코어 제공

500대 기업 중 상장사의 올해 3분기까지의 잉여현금흐름(FCF)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42조원 증가했다. 삼성전자, 한국전력공사, SK하이닉스 3사의 잉여현금흐름이 늘어난 결과다. 이들 3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마이너스였다.

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 상장사 중 최근 3개년 비교가 가능한 261개 기업의 3분기 개별 기준 잉여현금흐름을 조사한 결과,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잉여현금흐름 총액은 39조43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조3114억원) 대비 41조7449억원 증가한 수치다.

잉여현금흐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을 뺀 수치다. 기업의 실제 자금 사정이 얼마나 양호한지를 알려주는 동시에 연말 배당 여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261개 기업의 올해 3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123조462억원으로 전년 동기(81조7347억원) 대비 50.5%(41조3116억원) 늘었다. 반면 자본적 지출은 83조6127억원으로 전년 동기(84조461억원)에 비해 0.5%(4334억원) 줄었다.

CEO스코어는 “자본적 지출은 미래의 이윤 창출, 가치 취득을 위해 지출된 투자 과정에서의 비용으로 이 수치가 줄었다는 것은 기업들이 투자를 줄였다는 의미”라며 “삼성전자뿐 아니라 대부분의 기업들이 투자에 소극적으로 임했다”고 전했다.

올 3분기 잉여현금흐름이 늘어난 기업은 119개, 감소한 기업은 142개였다.

3분기 잉여현금흐름 증가액 상위 3사는 삼성전자(21조2246억원↑), 한국전력공사(15조1292억원↑), SK하이닉스(10조3177억원↑)로 이들 3사의 3분기 잉여현금흐름 증가액은 46조6715억원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3분기 잉여현금흐름은 13조34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마이너스 7조8785억원에서 플러스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3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증가했지만 자본적 지출도 20% 이상 감소하면서 잉여현금흐름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잉여현금흐름 감소액 상위 3사는 미래에셋증권(3조6693억원↓), NH투자증권(2조9411억원↓), 키움증권(2조3707억원↓) 등 증권사가 차지했다.


Today`s HOT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고베 대지진 30주년 된 일본, 희생자들을 기억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100주년 파트너십 맺은 영국-우크라이나의 회담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카불에서 열린 이스라엘-하마스 휴정 기념회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