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4일 비상계엄령 선포와 해제된 이후 한시적으로 환매조건부채권(RP)를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한은이 시장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직접 시중에 돈을 풀겠다는 의미다.
한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내년 2월까지 한시적으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의결했다.
한은은 보통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RP를 정례적으로 사들이는 방식으로 시장의 유동성을 조절한다. 이날 결정은 비상계엄 선포·해제로 금융시장이 불안해진 만큼 비정례 RP 매입을 통해 시장을 빠르게 진정시키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한은은 이날부터 RP 매입 대상에 산업금융채, 중소기업금융채, 수출입금융채, 9개 공공기관의 특수채, 농업금융채, 수산금융채 등을 추가한다.
금통위가 정한 기관만 할 수 있는 RP매매 대상 기관도 국내은행과 외은지점 전체, 증권사와 선물회사 전체로 확대했다.
한은은 향후 필요시 전액 공급 방식의 RP매입을 실시하고, 채권시장과 관련해 국고채 단순매입과 통화안정증권 환매도 충분한 규모로 실시하겠다고 했다.
한은은 채권시장과 관련해서도 필요시 국고채 단순매입과 통안증권 환매를 충분한 규모로 실시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외화RP를 통해 외화유동성을 공급하고 환율 급변동시 다양한 안정화 조치를 적극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이날부터 내년 2월28일까지 한시적으로 실시된다.
다만 한은은 비상계엄 직후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었다가 해제 이후 이날 오전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했다.
박종우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금융시장은 코로나19나 레고랜드 사태 때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라며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통화정책을 완화 방향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 자체가 (이전 사태 당시보다) 상대적으로 작다”고 판단했다.
박 부총재보는 이어 “필요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면서 “금융당국은 상황을 엄중하게 보고 역량을 총동원에 대응하고 있다”고 여러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