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솔아 푸르른 솔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솔아 푸르른 솔아

[임의진의 시골편지]솔아 푸르른 솔아

‘눈이 내리네’ 노래는 프랑스 샹송의 번안이다. 원곡보다 번안이 더 살갑게 귀에 감긴다. 이 겨울 찬 바람 무릅쓰며 광장에 서서 민주주의를 외치는 이들에게도 탄일종이 댕댕댕 귓전에 감돌길. 이 나라에 없는 사이 ‘눈이 내리네’ 노래의 날들이었나봐. 소나무도 그렇지만 단톡방마다 첫눈 소식이 대박. 두어 주에 걸쳐 유럽에 다녀왔다. 의장 주교님과 신부 수녀님, 목사님들 따라서 평화를 비는 순례사절단의 일원으로다가. 믿기지 않겠으나 프란치스코 교황님을 면전에서 뵙기도 했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책에 오월 광주의 소년시민군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 김길자 여사의 사인을 받아들고 갔는데, 이를 순례단은 선물로 드리고 왔다.

어김없이 눈이 오고, 소년도 오고, 살아 돌아오는 이들을 마중하는 시절이렷다. 최근 내 선곡음반 시리즈 ‘여행자의 노래’ LP반을 발매했다. 어디서 제작할까 찾다가 눈꽃나라 오스트리아에서 알판을 찍어왔다. 검고 둥그런 ‘엘피판’에다 그간 지구촌을 떠돈 순례 여정을 내가 사랑한 노래들로 정리한 셈이다. 탁한 목청으로 부른 자작 노래도 한 곡 담았다. 계절이 변하듯 얼굴도 변하고 목소리도 변해간다. 다만 소나무처럼 변치 않아야 할 점은 청년의 기개, 푸르름이리라.

폭설 뒤끝으로 눈모자를 털고 푸르름을 잃지 않은 금수강산의 소나무숲을 귀로에 바라보았다. “솔아 푸르른 솔아 샛바람에 떨지 마라, 창살 아래 네가 묶인 곳 살아서 만나리라” 별이 뜨는 회선재 내 집, 성탄 장식을 따로 하지 않아도 별을 총총 매단 우뚝한 성탄트리 소나무가 여러 그루다. 세계교회협의회(WCC) 본부가 있는 제네바의 도심 성탄트리가 문득 생각나. 아랫동이 댕강 잘린, 올해의 희생제물 전나무였다. 일행들만 없었다면 꼭 안아주고 싶었다.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