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포고령 공포 → 결의안 의결 → “해제”…긴박했던 6시간

이보라 기자

윤석열의 ‘친위 쿠데타’ 시간대별 상황

밤 10시23분 예정 없던 브리핑…계엄사령관 임명 강행
여야 의원들 국회 속속 집결…무장 계엄군도 국회 진입
재석의원 190명 전원 찬성…윤, 3시간27분 뒤 해제 발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가 이뤄졌던 6시간은 대한민국이 21세기에 상상도 못해본 충격과 혼돈의 시간으로 남았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오후 10시23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브리핑은 사전 예고도 없이 열렸다. 비상계엄 선포에 곧바로 계엄사령부가 설치됐고 계엄사령관에는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임명됐다.

여야 대표는 20여분 만에 일제히 “불법·위헌적 계엄 선포”라며 반발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다. 국민과 함께 막겠다”고 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곧 탱크와 장갑차, 총칼을 든 군인들이 이 나라를 지배하게 된다. 무너지는 민주주의를 여러분이 함께 나서 지켜달라”고 했다. 여야 대표는 의원들을 국회로 소집했다.

국회를 오가는 길은 삽시간에 경찰에 의해 가로막혔다. 경찰은 오후 10시50분부터 국회 외곽문을 폐쇄하고 국회의원과 직원들의 출입을 막았다. 국회 밖에 있던 우원식 국회의장은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의결하기 위해 국회 진입을 시도했다. 그는 차량 진입이 막히자 오후 10시57분 국회 담벼락을 넘어 경내로 들어왔다.

오후 11시25분 박 참모총장은 계엄사령부 ‘포고령 제1호’를 공포했다. 포고령에는 ‘정치 활동이 금지되고 모든 언론과 출판이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방부는 3일 오후 11시48분부터 헬기를 24차례 동원해 총을 메고 무장한 계엄군 280여명을 국회로 진입시켰다.

계엄군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상정 본회의 개최를 앞둔 국회의사당 진입을 시도했다. 국회의사당 안에 있던 야당 보좌진은 책상과 의자 등 집기를 정문 쪽으로 옮겨 계엄군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바리케이드를 쳤다. 그러나 계엄군은 4일 0시34분 국회의사당 2층 사무실 유리를 깨고 의사당 안으로 난입했다. 국회의사당 내에서 계엄군과 야당 보좌진 간 대치가 이어졌다.

우 의장은 4일 0시5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본회의에 상정하고자 의원들을 소집했다. 정치 현안을 두고 충돌해온 한 대표와 이 대표는 본회의장에서 만나 악수를 나눴다. 가까스로 의원 190명이 모이자 우 의장은 오전 1시 본회의를 열고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다. 재석 190명 전원 찬성으로 결의안이 가결됐다. 찬성표를 던진 여당 의원은 18명뿐이었다.

결의안 가결에 우 의장은 즉시 계엄군의 철수를 요구했다. 이에 계엄군은 4일 오전 2시3분 국회에서 모두 철수했다. 결의안이 가결됐는데도 윤 대통령은 한동안 비상계엄을 해제하지 않고 침묵을 지켰다. 우 의장은 국회에서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해제를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의 결의안 의결 3시간27분이 지난 4일 오전 4시27분 결국 비상계엄 선포를 해제했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약 6시간 만이었다. 합동참모본부도 비상계엄에 투입된 병력이 원소속 부대로 복귀했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4일 오전 4시30분 국무회의에서 이를 의결하며 파국의 상황은 일단락됐다.


Today`s HOT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2025 도쿄 오토 살롱
필리핀에서 열린 검은 나사렛의 종교 행렬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대만 해군의 군사 훈련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프랑스를 방문하다. 레바논의 새 대통령, 조셉 아운의 취임식 구 격전지의 시리아 지역.. 활기를 되찾는 사람들 2025 앨비스 페스티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