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정권 퇴진’ 깃발
양대 노총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정부를 상대로 한 투쟁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대통령이 퇴진할 때까지 무기한 총파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부 들어 처음으로 퇴진 기조를 전면에 내걸었다. 노·정 관계 경색에 따라 노동계와 정부 간 대치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노총은 4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 퇴진 시까지 무기한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생산을 멈춰 윤석열의 폭주를 막고 시민들과 함께 비상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사회를 파괴하는 내란범 윤석열을 즉각 체포해야 한다”며 “민주노총은 윤석열을 처벌하기 위해 총력을 다해 싸울 것”이라고 했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1·2차 윤석열 정권 퇴진 총궐기 대회를 진행한 데 이어 오는 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3차 총궐기 대회를 연다. 그간 총궐기 대회를 중심으로 퇴진운동을 벌여온 민주노총이 무기한 총파업을 조직하겠다고 나선 것은 비상계엄 사태로 조합원들의 분노가 높아졌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민주노총의 핵심 산별노조인 금속노조는 5~6일 주야 각 2시간 이상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금속노조는 윤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을 경우 오는 11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을 벌인다.
한국노총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했다. 윤석열 정권 심판에서 퇴진으로 수위를 끌어올린 것이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국민에게 총을 겨눈 윤석열을 대통령 자리에서 끌어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은 윤석열 정부를 사회적 대화 상대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도 밝혔다.
김 위원장은 “기후위기와 산업전환에 따른 일자리 문제, 정년연장 등 정말 시급한 문제가 눈앞에 있지만 자격이 없는 정부와의 대화는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 전면 중단을 선언한 것은 아니지만 비상계엄 선포 여파로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논의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6월 7년5개월 만에 사회적 대화 전면 중단을 선언한 한국노총은 같은 해 11월 대통령실 요청으로 사회적 대화에 복귀한 바 있다. 민주노총은 1999년 2월 경사노위를 탈퇴한 이후 계속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경사노위는 입장문을 내고 “고령자 계속고용 등 중요한 현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다”며 “우리 경제와 노동시장의 엄중성을 고려할 때 사회적 대화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중단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