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통신’과 ‘AI’ 중심으로 조직 개편

배문규 기자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텔레콤 본사 ‘T타워’.   SK텔레콤 제공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텔레콤 본사 ‘T타워’.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5일 통신과 인공지능(AI)을 두 축으로 하는 2025년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SK텔레콤은 올해 ‘AI 피라미드’ 전략을 구체화해 AI 영역의 성장 토대를 마련한 데 이어 내년에는 7대 사업부 체계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유임하게 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2025년을 통신과 AI를 중심으로 전사 역량을 결집해 핵심 사업 영역별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는 ‘실행’의 해로 만들겠다”며 “이번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에서는 비전 달성을 위한 실행 중심 체제로 조직을 재정비함과 동시에 통신과 AI 등 사업과 현장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는 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7대 사업부는 통신 분야의 ‘MNO(이동통신)사업부’, ‘B 유선/미디어사업부’, ‘엔터프라이즈사업부’와 AI 분야의 ‘에이닷사업부’, ‘GPAA(글로벌 퍼스널 AI 에이전트)사업부’, ‘AIX(AI 전환)사업부’, ‘AI DC(데이터센터)사업부’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기업 간 거래(B2B) 사업 관련 부서는 엔터프라이즈사업부, AIX사업부, AI DC사업부다. 엔터프라이즈사업부는 메시징, PASS/인증, 페이먼트 등 B2B향 사업을 수행하며, AIX사업부는 SK텔레콤과 SK C&C의 역량을 활용해 그룹 내 AI 활용 사례를 만들고 글로벌 및 국내 시장으로 확장을 추진한다. AI DC사업부는 차세대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등 그룹 내 자원을 기반으로 AI 데이터센터 및 그래픽처리장치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7대 사업부를 지원하는 공유 인프라군과 스태프군 체제도 이번에 도입했다. 산재된 기술 조직을 결집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취지다.

여러 조직에 나눠진 기능을 통합해 전사 조직 단계를 4단계로 축소하는 작업도 이뤄졌다. 사업부 조직은 ‘본부’로 스태프 등 지원 조직은 ‘실’로, R&D 조직은 ‘랩’으로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했다. 기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운영개선(O/I)추진실’도 신설했다.

임원 인사에서는 젊은 인재 위주로 강은경 MNO사업부 MNO기획본부장, 류탁기 네트워크 인프라센터 인프라기술본부장, 조정민 SKB AI DC사업부 AI DC기획본부장 3명의 신규 임원을 선임했다. 그룹사의 조직 슬림화 기조를 반영해 전체 임원 수는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Today`s HOT
에티오피아의 지진.. 주민들의 대피 독일 연방의회 선거 앞둔 후보자들의 활동 전쟁으로 얼룩진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 2025 도쿄 오토 살롱
필리핀에서 열린 검은 나사렛의 종교 행렬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대만 해군의 군사 훈련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프랑스를 방문하다. 레바논의 새 대통령, 조셉 아운의 취임식 구 격전지의 시리아 지역.. 활기를 되찾는 사람들 2025 앨비스 페스티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