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3야당인 국민민주당이 불륜 사실을 인정한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에 대해 3개월 당 직무 정지를 결정했다고 5일 아사히신문 등이 보도했다. 사퇴가 아니라 직무 정지에 그친 것은 내년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별다른 ‘간판’ 인물이 없는 당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민주당은 전날 중의원(하원)·참의원 의원 총회를 열어 이같은 징계를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신바 가즈야 국민민주당 간사장은 “당의 명예와 신뢰에 손상을 가져왔다”고 징계 취지를 설명했다.
다마키 대표의 직무 정지는 내년 3월3일까지다. 대표 대행은 후루카와 모토히사 의원이 맡는다.
당내에서는 세제개편 논의 등이 본격화한 상황에서 대표의 부재로 “여당과의 협상이나 홍보 등이 차질을 빚을까 불안하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NHK는 전했다. 다마키 대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동영상 홍보를 통해 지난 10월 중의원 선거 때 당 지지율 확대를 견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직전 7석이던 국민민주당 의석수는 이번 선거에서 28석으로 약진했다.
자민·공명 연립여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한 후 캐스팅보터로 부상한 국민민주당은 핵심 공약이던 ‘103만엔의 벽’ 개선을 자민당에 강력히 요구했고, 다마키 대표는 이 협의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국민민주당은 현재 연 소득 103만엔(약 970만원)까지인 소득세 비과세 구간을 확대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여당과 정책 협의를 다마키 의원이 주도해 온 면이 있다”며 ‘대체재’가 될 인물이 마땅치 않은 당 상황을 지적했다. 이는 다마키 대표가 불륜 사실을 인정하고도 대표직 사퇴 압력까지는 강하게 받지 않은 배경이기도 하다고 신문은 짚었다.
마이니치신문은 직무 정지 기간인 3개월이 절묘한 숫자라고 평가했다. 직무 정지 1개월이면 내년 국회 소집 전 대표 복귀가 가능하지만 ‘짧다’는 비판을 초래할 수 있고, 6개월이면 복귀가 늦어 내년 여름 참의원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자민·공명 양당과의 합의가 한창인 상황에서 ‘당의 얼굴’이 이탈하는 건 뼈아픈 일이지만, 당에 미치는 피해를 최대한 억제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