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조기 귀국’ 김경수 “윤 대통령,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도리”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조기 귀국’ 김경수 “윤 대통령,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도리”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계기로 귀국

“탄핵은 거스를 수 없는 국민의 명령”

곧바로 이재명 찾아 단일대오 강조

김경수(오른쪽) 전 경남지사가 5일 오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경수(오른쪽) 전 경남지사가 5일 오후 국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독일 체류 중 12·3 비상계엄 사태로 조기 귀국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조금이라도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있다면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며 하야를 촉구했다. 친문재인(친문)계 적자로 꼽히는 김 전 지사는 곧바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찾아 탄핵 정국에서의 단일대오를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5일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계엄 사태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 위상은 땅에 떨어졌다”며 “이 위기를 초래한 무모한 권력에 대한 탄핵은 거스를 수 없는 국민의 명령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도 탄핵을 반대한다면 어제의 범죄를 벌하지 않음으로써 내일의 범죄를 부추기는 참으로 어리석고 위험천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며 “지금은 탄핵의 시간이자 국민의 시간”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 하야를 요구한 김 전 지사는 “국민의 인내심을 더는 시험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3년 8월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던 김 전 지사는 최근까지 독일에 머물렀다. 김 전 지사는 그동안 정치권과 거리를 두며 관련 발언을 자제해왔지만, 22대 총선을 거치며 친이재명(친명) 체제로 재편된 민주당에서 비이재명(비명)계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란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유죄 판결로 상실했던 피선거권을 지난 8월 복권으로 되찾으면서 그의 향후 행보에 대한 다양한 관측이 제기됐다.

김 전 지사는 애초 내년 2월까지 독일에 머물 계획이었지만,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선포로 조기 귀국을 선언했다. 그는 “해외에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자 했던 공부를 마무리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며 “계엄 사태를 거치면서 단 한 사람이라도 거리에서 싸워 힘을 보태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해 빨리 귀국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맡을 계획인가’라는 질문에 “갑자기 귀국한 상황”이라며 “지금은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대한민국 위기를 빨리 해소하는 데 함께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지는 그 속에서 함께 찾겠다”라고 말을 아꼈다.

김 전 지사는 귀국 후 곧바로 국회로 이동해 민주당 당 대표실에서 이 대표와 만났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표 면담 뒤 기자들과 만나 “계엄 선포 이후 국회에서 해제를 의결하는 과정에서 국회와 민주당을 포함한 정당들이 큰 역할을 해주셨다”며 “거기에 대해 해외에 계신 교포들이 대단히 고마워하고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해달라고 부탁하셔서 그 인사를 전하고 왔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대화 내용을 묻는 질문엔 “그동안 못 나눴던 얘기를 나눴다”며 “공식적인 대화 내용은 배석자에게 (물어봐 달라)”고 말을 아꼈다. 앞서 공항에선 “당 대표이시니 뵙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어 우원식 국회의장과도 면담했다.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를 계기로 민주당은 단일대오를 형성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 대표 잠재적인 경쟁자로 꼽히는 김동연 경기지사도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윤 대통령은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고 밝히는 등 비판 수위를 높였다. 비명계 전직 의원 모임인 초일회도 “더는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퇴진을 촉구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