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이 5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 시점을 오는 7일로 정하고 여당의 동참을 압박하기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비상 최고위원회의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친위 쿠데타를 다시 무덤으로 돌려보내고 다시 부활하지 못하도록 봉인 장치를 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은 대통령 불소추특권도 지켜주지 못하는 내란죄를 범한 대통령”이라며 “내란죄는 우두머리에 최대 사형을 선고할 수 있는 중대 범죄”라고 말했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국민의힘을 향해 “‘국민과 지지자를 위해서 탄핵을 막는다’는 소리는 그만하고 탄핵에 찬성하라”고 촉구했다.
탄핵소추 표결 시점도 주말인 7일로 늦췄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에 대해 “국민들도 탄핵안에 대해 판단해 볼 시간적 여유를 가질 필요도 있고, 국민의힘 의원들도 위헌적인 내란, 쿠데타 반란에 대해 어떤 결단을 할 것인지 충분히 숙고의 시간을 줄 필요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 탄핵 여론을 확산시키고 이를 통해 여당의 동참을 압박하기 위한 시간을 벌겠다는 의도다.
야당은 남은 기간 동안 여당을 설득하기 위한 총력전에 나설 전망이다. 민주당에서는 개별 의원들 차원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에 대한 설득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 국민의힘 의원들을 향한 대자보를 붙이기도 했다.
계엄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사회적 공감를 넓히기 위한 여론전도 이어가고 있다.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해 비상계엄의 문제를 살펴보는 작업도 시작됐다. 이날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현안질의에서는 비상계엄 당시 확인된 경찰의 문제를 비판하는 야권 의원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계엄을 실행한 윤 대통령과 군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야권은 향후 탄핵 표결까지 장외집회 등을 독려하며 탄핵 찬성 여론을 모아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찬성 여론이 치솟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대한 지지가 폭락하면 여권 내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특히 탄핵안 표결 당일인 7일에는 광화문광장에서 ‘윤석열 정권 퇴진 제3차 범국민대회’가 예정돼 있다. 비상계엄 사태로 비판 여론이 커진 만큼 이전에 비해 규모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여당이 당론 반대를 결정한 만큼 탄핵소추안 가결의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민주당은 이번 표결에서 탄핵소추에 실패하며 계엄사태에 대한 여론을 끌어모아 탄핵소추안을 재발의할 계획이다. 또한 탄핵소추 표결 당일 김건희 특검법 재의결을 추진하고, 오는 10일 열리는 본회의에서는 윤 대통령의 내란죄 혐의에 대한 상설특검 수사요구안과, 해병대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에 관한 국정조사 실시계획서 등을 처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