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1~8호선 등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내 조합원이 가장 많은 서울교통공사노조(1노조)와 통합노조(2노조)가 사측과의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타결했다. 1노조는 6일부터 하기로 했던 파업도 철회했다.
서울교통공사 1노조는 6일 오전 2시 “사측과의 임단협 교섭이 합의타결됐다”고 밝혔다. 1노조는 전날 오후 4시10분쯤부터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사측과 임단협 교섭을 벌였다. 서울교통공사가 1노조와 2노조, 올바른노조(3노조)와 번갈아 개별 교섭을 벌였기 때문에 1노조와의 교섭은 개시 약 10시간 만에 타결로 마무리됐다.
이어 2노조도 이날 오전 2시50분쯤 임단협을 타결했다. 2노조는 전날 오후 4시50분쯤 사측과의 임단협 교섭을 시작했다.
1노조는 “주요 쟁점인 인력 충원 관련, 정년퇴직 인원을 충원하고 장기결원 인력에 상응하는 추가 채용을 하기로 했다”며 “630여명 신규채용을 조속히 실시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1노조에서 주장하던 2호선 1인 승무제는 사측이 “노동자와 승객 안전을 고려해 도입을 중단한다”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임금 인상분은 사측이 주장한 2.5% 상승으로 정리됐다. 정부가 정한 공공기관 임금 인상률과 같다. 1노조는 전년 대비 6.6% 상승을 요구했었다.
1노조는 6일 첫차부터 하기로 한 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1노조는 서울교통공사 내 3개 노조 중 가장 많은 조합원을 두고 있다. 직원 중 약 60%가 1노조 조합원이다. 1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지하철 운행 차질이 불가피했다.
다만 1노조는 “(상급 단체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투쟁 지침에 따라 ‘민주주의 유린 윤석열 퇴진’ 투쟁에는 조합원 총회에 지속적으로 결합해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2노조는 지난 2~4일 파업 참여 여부에 대한 조합원 투표를 진행했으나 재적 조합원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해 파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