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미 수출 통제 관련 업계 간담회 개최

삼성전자 연구원들이 경기 화성캠퍼스에 있는 반도체 생산 라인 내 클린룸에서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첨단 반도체 장비를 중국 등에 수출하는 것을 막는 미국의 수출 통제 조치와 관련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업계 간담회가 6일 열렸다. 반도체 장비 업계는 업계의 이익을 보호하고 불확실성 우려를 낮추는 데 힘써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반도체 장비 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한국 기업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윤성혁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관 주재로 열린 간담회에는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원익IPS, 주성엔지니어링, 테스, 세메스, 피에스케이,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서플러스글로벌 등이 참석했다.
업계 측은 미국의 수출 통제 내용이 확정되고, 정부 간 협의 과정에서 업계 입장도 일정 부분 반영돼 불확실성이 다소간 해소된 것으로 평가했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또 내년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변화 가능성을 전망하며, 정부가 업계의 이익을 보호하고 불확실성 우려를 낮추는 데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은 지난 2일(현지시간) HBM과 첨단 반도체 장비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 개정안을 발표하고 관보에 게재했다. 이번 수출 통제 조치에는 ‘해외 직접 생산품 규칙(Foreign Direct Product Rule·FDPR)’이 적용돼 미국 외의 제3국에서 생산된 HBM·반도체 장비라도 특정 요건에 해당한다면 미국산 제품으로 간주해 통제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