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조태열 외교장관과 통화를 하고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민주적 절차의 승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블링컨 장관이 조 장관과의 통화에서 한국의 계엄령 선포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으며, 국회에서 만장일치로 계엄령이 해제된 것을 환영했다”고 말했다.
그는 “블링컨 장관은 또 이 기간 한국의 민주적 회복력에 대한 확신을 전달했다”며 “한국의 민주적 절차가 승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블링컨 장관은 “한·미 동맹에 대한 미국의 약속은 철통같다”면서 “미국 국민은 대한민국 국민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동맹에 대한 어떠한 도발이나 위협에도 함께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도 밀러 대변인은 전했다.
한·미 외교 수장의 이번 통화는 최근 미국 정부 인사들이 비상계엄 사태에 잇따라 비판적인 언급을 내놓고 양국 간 예정됐던 각종 외교 일정이 계엄 여파로 중단된 가운데 이뤄졌다.
앞서 미 국무부는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중대한 우려”를 갖고 한국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무부 2인자인 커트 캠벨 부장관은 이튿날인 4일엔 윤 대통령이 “심한 오판(badly misjudge)”을 했다고 평가하며 계엄 선포 과정에 대해 “불법적인(illegitimate) 과정”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당초 일본과 함께 한국 방문도 추진했다가 한국은 방문하지 않기로 하는 등 계엄 사태로 인한 파장은 계속되고 있다. 미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4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제1차 NCG 도상연습(TTX)도 무기한 연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