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은 얼마나 늙었을까··· 인공지능으로 측정해 심방세동 위험도 예측

김태훈 기자


심전도 검사를 분석한 인공지능이 심장의 노화와 그에 따른 심방세동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게 한 연구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심전도 검사를 분석한 인공지능이 심장의 노화와 그에 따른 심방세동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게 한 연구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


심전도 검사 결과를 분석해 심장의 노화에 따른 심방세동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이 개발됐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정보영·유희태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으로 심방세동 위험성 및 조기 발병률을 예측한 연구를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 게재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은 세브란스병원이 보유한 약 150만건의 심전도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학습시킨 뒤 6개국의 심전도 데이터 약 70만건과 비교 분석해 실효성을 검증했다.

연구진은 검증을 마친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해 심전도 검사를 받은 다국적 코호트 약 28만명을 대상으로 심장의 노화 정도와 심방세동 위험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심전도에서 노화를 확인한 A그룹(5만108명)은 정상인 B그룹(23만 504명)보다 심방세동 발병 위험도가 1.8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세 미만 연령대에서 심방세동이 발병한 위험도는 A그룹이 B그룹보다 2.07배 높았다. 심전도를 통해 측정된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1살 많아질수록 심방세동 발병률은 3%씩, 조기 발병 위험도는 4%씩 증가하는 양상도 확인됐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기록해 심장질환 진단에 사용한다. 이번 연구에선 미국 메이요클리닉, 영국 바이오뱅크 등 해외 저명 기관을 통해 한국인의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로 학습시킨 인공지능이 인종이 달라도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는지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심전도에서 나타난 노화 정도와 심방세동 발병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향후 심방세동뿐 아니라 노화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다른 심장질환 또한 조기에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보영 교수는 “심전도 노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인공지능이 심방세동 발병을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측정법들 가운데 가장 우수한 예측도를 보였다”며 “심전도가 심장질환 진단의 중요한 바이오마커인 만큼 이번 연구가 심방세동은 물론 다른 심장질환 예측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인한 해안 침식 모습 더 나은 복지와 연금 인상을 원하는 프랑스 시민들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