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오픈랜 실증 글로벌 행사인 ‘플러그페스트’에서 오픈랜 제조사 10곳과 연구협업 성과를 선보였다고 8일 밝혔다.
오픈랜은 ‘개방형 무선접속망’을 말한다.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분리해 제조사가 다르더라도 상호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기술이다. 플러그페스트는 오픈랜 기술 표준화를 주도하는 단체 ‘오픈랜 얼라이언스’ 규격 기반의 기지국 장치와 솔루션을 테스트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행사다. SK텔레콤은 3년 연속 주관사로 참여했다.
이번에 선보인 오픈랜 기술은 가상화 기지국과 인공지능(AI) 기반 무선망 최적화 기술 등이다. SK텔레콤은 “회사의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 비전인 ‘텔코(통신회사) 에지 AI’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라고 말했다. 텔코 에지 AI는 통신 인프라와 AI를 결합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AI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개념이다.
SK텔레콤은 에릭슨, 노키아 등과 다양한 구조의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하고 이들의 성능과 용량, 소모전력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AI 기술을 활용해 오픈랜 기지국의 소모전력을 최적화한 연구·개발 결과를 통해 무선망 효율화 가능성도 제시했다. 해당 연구에서 SK텔레콤은 브로드컴, HCL테크, 비아비 솔루션스 등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와 솔루션을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연동하는 데 성공했다. 회사는 에치에프알(HFR),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개방형 프론트홀 기반 무선신호처리부(RU) 전력 절감 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한 결과도 공개했다.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담당은 “이번 성과는 관련 기술력을 글로벌 무대에 알리고 기술 진화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도 같은 행사에서 경북 구미 금오공대 캠퍼스에 오픈랜 상용망을 구축한 성과를 공개했다. 캠퍼스 내 LG유플러스 고객들은 기존 5G 네트워크와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