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그래도 대출 힘든데···” 비상계엄에 ‘아파트 입주’ 더 힘겨워지나

심윤지 기자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88.6’

한달새 5.2P 하락…수도권 급락

아파트 공급자들은 다음 달 수도권에서 입주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권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대출 한도가 줄어든 상황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터지며 시장 불확실성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서울의 한 견본주택에서 설명을 듣는 방문객들. 연합뉴스

서울의 한 견본주택에서 설명을 듣는 방문객들. 연합뉴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8일 조사한 이번 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8.6로, 지난달(93.8)보다 5.2포인트 하락했다. 아파트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 공급자 관점에서 입주가 계획됐거나 입주 중인 단지에 대한 입주 여건을 조사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입주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으로, 공급자가 향후 해당 지역에 주택공급을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하락폭이 컸다. 광역시는 8.3포인트(98.5→90.2), 도 지역은 0.5포인트(87.1→86.6) 하락할 때 수도권은 11.3포인트(101.9→90.6)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 서울의 입주전망지수는 지난달 105.2에서 이번 달 100으로 5.2포인트 하락하는 것에 그쳤다. 반면 인천은 17.2포인트(103.4→86.2), 경기는 11.3포인트(97.0→85.7)로 낙폭이 컸다.

이는 지난 9월부터 시작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규제의 여파를 서울 외 수도권이 더 크게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입주 전망 자체는 수도권보다 지방이 훨씬 부정적이다. 대출 규제 전까지는 분양 시장이 활발했던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이미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많아 신규 분양이 위축된 상황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 관리 기조 속 제한된 대출 한도가 입주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대출 규제 및 트럼프발 경기 불안 심리에 이어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주택사업자들의 시장회복에 대한 관망세가 짙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전국 입주율(입주 지정 기간이 도달한 아파트 가운데 잔금을 완납한 가구 비중)은 69.0%로, 10월(67.4%)보다 소폭 올랐다. 수도권은 0.7%포인트(81.6%→82.3%), 지방은 1.8%포인트(64.4→66.2%) 올랐다. 다만 대출 규제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마이너스피’ 매물을 내놓는 사례가 서울과 경기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가 37.9%로 가장 많았으며, 기존주택 매각 지연 31.0%, 세입자 미확보 19.0%, 분양권 매도 지연 5.2% 등이 뒤를 이었다. 잔금대출 미확보는 전월(30.9%)보다 7.0%포인트 상승했지만, 세입자 미확보에 따른 미입주는 전월(27.3%)보다 8.3%포인트 줄었다.


Today`s HOT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