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오른쪽)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https://img.khan.co.kr/news/2024/12/08/news-p.v1.20241208.4ad804ce69424653bdc7574c55eeb484_P1.png)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오른쪽)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6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당론으로 불참해 표결이 무산된 것에 대한 비난 여론이 쏟아지는 와중에도 내부 권력다툼에 골몰하고 있다. 친한동훈(친한)계와 친윤석열(친윤)계는 사퇴 의사를 밝힌 추경호 원내대표의 재신임 여부, 윤 대통령이 정국 안정 방안을 일임한 주체가 누구인지를 두고 다투고 있다. 윤 대통령의 임기, 내각 인선 등 국정운영 방향을 결정할 권한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이 벌어진 것이다.
8일 국민의힘에서는 추 원내대표의 재신임 여부를 놓고 친한계와 친윤계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추 원내대표는 전날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의결정족수 미달로 무산된 이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헌정사상 세번째 대통령 탄핵 표결이 이뤄진 작금의 상황에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했다. 친윤계 권성동 의원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원내 사령탑이 바뀌어선 안 된다며 추 원내대표 재신임을 의총 안건으로 올렸는데, 이 과정에서 친한계와 친윤계는 정면으로 충돌했다.
친한계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비상계엄 해제 표결 당일 추 원내대표의 잘못으로 의원들이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며 추 원내대표는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신동욱 수석원내대변인은 “추 원내대표가 의도적으로 의원들을 당사에 격리한 상황이 아닌 것을 잘 알면서 이런 얘기를 언론플레이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반발했다.
친윤계는 추 원내대표가 의원총회에서 찬성 73표, 반대 2표(기권 3표)로 재신임됐기 때문에 그가 계속 원내대표직을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추경호 원내대표의 재신임안이 압도적 찬성으로 추인된 것은 당내 단합과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지금 당장 추경호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정책위의장과 예결위원들이 늦어진 예산안 심사에 돌입해야 한다”고 했다.
친윤계에서는 친한계가 원내 권력까지 독점하기 위해 추 원내대표를 흔들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추 원내대표는 당사에 있던 의원들을 국회에 들어오게 하기 위해 어느 쪽 문이 열렸는지 알아보는 동시에 국회의장한테는 표결을 조금만 늦춰달라고 계속 전화하던 중이었다”며 “한 대표가 원내 상황까지 총괄하고 싶은 욕심에 추 원내대표를 사실상 내쫓은 거 아니냐”고 했다.
반면 친한계는 추 원내대표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일 의원들을 국회가 아닌 당사로 모은 것이 잘못된 판단이었다며 원내대표 교체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은 MBC 라디오에서 “비상계엄 당일에 원내 사령탑으로서의 지휘는 대단히 부적절하고 잘못된 것”이라며 “그 행위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되는 게 맞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대국민담화에서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안정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한 발언의 의미를 두고도 친한계와 친윤계는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해석을 하고 있다.
친한계는 한 대표에게 권한을 넘긴다는 뜻이라고 보고 있다. 친한계 핵심관계자는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당에 일임한다는 것은 한 대표에게 일임한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반면 친윤계는 한 대표 혼자가 아닌 의원총회 등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윤 의원은 SNS에서 “대통령께서 국정 안정화 방안을 당에 일임한 것은 당 최고위원회, 의원총회, 또 여러 원로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방안을 모색하라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SNS에 “대한민국 국민은 니한테 국정을 맡긴 일이 없다”며 “너도 내려 오너라. 니가 어떻게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을 직무 배제할 권한이 있나”라고 한 대표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탄핵은 오락가락하면서 고작 8표를 미끼로 대통령을 협박하여 국정을 쥐겠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리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