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사태’ 당시
특전·수방·방첩사 외에
정보사 병력 투입 주장
“군에 빠른 수사 필요”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특수전사사령부(특전사),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방첩사령부(방첩사) 이외에도 정치인 등 체포를 위해 정보사령부 병력이 투입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보도자료를 내고 “기존에 거론되던 특전사, 수방사, 방첩사 외에 정보사 병력도 투입됐음을 확인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이 받은 제보에 따르면 정보사 소속 정보요원 7명은 정치인 등 체포를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위해 경기 판교 소재 정보부대에 파견됐다. 위치정보 파악 임무 수행이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박 의원은 주장했다.
박 의원은 “파견된 병력은 탈북자나 간첩에 대한 합동심문을 위해 조직된 부대를 TF로 새로 개편해 합동수사업부 수행을 준비했다”며 “정치인과 유튜버 등에 대한 심문과 조사, 구금을 준비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어 “이들이 별도의 감청팀까지 준비하면서 당시 위치추적이 안 돼 애를 먹었던 정치인과 유튜버에 대한 위치추적을 지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현재 국방부와 합참, 육본, 수방사, 특전사, 방첩사, 정보사 등에서는 대대적인 증거인멸 작업이 진행 중으로, 빠른 수사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