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원 “정치인 체포에 정보사도 투입···군부 내 대대적 증거 인멸 작업중”

이유진 기자

‘12·3 내란 사태’ 당시

특전·수방·방첩사 외에

정보사 병력 투입 주장

“군에 빠른 수사 필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자정을 넘긴 지난 4일 새벽 국회에 도착한 무장군인들이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하자 국회 직원 등이 격렬히 막아서고 있다. 성동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자정을 넘긴 지난 4일 새벽 국회에 도착한 무장군인들이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하자 국회 직원 등이 격렬히 막아서고 있다. 성동훈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특수전사사령부(특전사),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방첩사령부(방첩사) 이외에도 정치인 등 체포를 위해 정보사령부 병력이 투입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보도자료를 내고 “기존에 거론되던 특전사, 수방사, 방첩사 외에 정보사 병력도 투입됐음을 확인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이 받은 제보에 따르면 정보사 소속 정보요원 7명은 정치인 등 체포를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위해 경기 판교 소재 정보부대에 파견됐다. 위치정보 파악 임무 수행이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박 의원은 주장했다.

박 의원은 “파견된 병력은 탈북자나 간첩에 대한 합동심문을 위해 조직된 부대를 TF로 새로 개편해 합동수사업부 수행을 준비했다”며 “정치인과 유튜버 등에 대한 심문과 조사, 구금을 준비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어 “이들이 별도의 감청팀까지 준비하면서 당시 위치추적이 안 돼 애를 먹었던 정치인과 유튜버에 대한 위치추적을 지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현재 국방부와 합참, 육본, 수방사, 특전사, 방첩사, 정보사 등에서는 대대적인 증거인멸 작업이 진행 중으로, 빠른 수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Today`s HOT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