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고 따가운 ‘띠 모양’ 붉은 발진··· 발견하면 바로 병원으로

김태훈 기자
몸통 부위에 띠 모양으로 발생한 대상포진. 국가건강정보포털 제공

몸통 부위에 띠 모양으로 발생한 대상포진. 국가건강정보포털 제공

60대 여성 A씨는 최근 최저기온이 영하로 떨어진 겨울 추위에 두통과 오한 증상을 심하게 느꼈다. 감기에 걸렸다고만 생각했으나 이틀 뒤부터는 왼쪽 허리 부분에 옷만 닿아도 따가운 심한 통증까지 동반됐고, 이어 띠를 두른 듯한 모양의 물집까지 발생했다. 결국 병원을 찾은 A씨는 대상포진 진단을 받고 치료에 들어갔다.

대상포진은 과거 감염됐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수두를 일으킨 뒤에도 몸 안의 신경절(신경뿌리)에 장기간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질 때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름 그대로 신경을 따라서 띠 모양의 포진이 나타나는데,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기지만 신경이 있는 부위라면 얼굴, 팔, 다리 등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특정 부위가 아프고 따끔거리는 통증으로 시작했다가 1~3일 뒤부터 해당 부위에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이후 발진이 물집 형태로 변해 1~2주 가량 유지돼다 딱지가 앉으며 호전된다. 다만 중년층 환자의 약 50%는 피부 증상이 호전된 뒤에도 한달 이상 심한 신경통이 계속되기도 한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므로 증상이 시작된 지 3일 안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면 보다 빠르게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몸통의 허리나 엉덩이 주변에 통증을 일으키는 특성 탓에 허리디스크나 염좌 같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오인하거나, 비슷한 증상의 감기·몸살로 여겨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초기에 대상포진임을 알아차리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또 항바이러스제를 썼더라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호전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그래도 최대한 치료를 조기에 받으면 피부의 발진이 사라진 이후로도 통증이 계속되는 후유증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몸에 비슷한 의심증상이 생겼다면 바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좋다.

대상포진은 면역력과 관련된 질환이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면역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휴식 등의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평소에 면역력 저하를 막아야 한다. 연말연시의 과음 역시 면역력을 급격히 떨어뜨릴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해두면 예방에 효과적이다.

남엘리엘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은 종류에 따라 대상포진의 발병률을 50~90% 줄여주며 신경통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면서 “초기에 방문해 치료하는 것이 좋고, 만약 통증이 지속되며 환부에 붉은 증상이 다시 나타날 때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Today`s HOT
오슬로에서 이루어진 우크라이나-노르웨이 회담 평화를 위해 심어진 붉은 깃발 텍사스 주 산불, 진압 위해 작업하는 대원들 런던에서 열린 춘분식
아름다운 선행, 구조 대원들에 의해 살아난 동물들 달러와 연료 부족난을 겪는 볼리비아 사람들
시드니 풋볼 월드컵 예선을 준비하는 호주 선수들 175명씩 전쟁 포로 교환, 돌아온 우크라이나 군인들
런던의 어느 화창한 날, 공원에서의 시민들 대피 명령 경보 떨어진 베이트 하눈을 떠나는 사람들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전쟁 종식 시위 라마단을 위한 무료 문신 제거 서비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