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는 딥페이크를 활용하여 생성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에 대한 답변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https://img.khan.co.kr/news/2024/12/09/news-p.v1.20241209.efdf338ffeab4b1da0f9db33ce3707a4_P1.jpg)
‘귀하는 딥페이크를 활용하여 생성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에 대한 답변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민 10명 중 4명은 딥페이크를 쓴 가짜뉴스를 진짜와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지난 10~11월 약 한 달간 국민 5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41.9%는 ‘판별할 수 없다’고 밝혔으며, ‘어느 정도는 판별할 수 있다’가 51.9%였다. ‘판별할 수 있다’는 응답자는 6.2%에 그쳤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0%였다. 응답자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매우 심각함 56%, 심각함 38.5%)하다고 봤고, 84.9%가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인격적 피해(48.2%)가 가장 많이 꼽혔다.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가 지적됐다.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 정부 정책으로 ‘범죄자에 대한 처벌 강화(36.9%)’를 요구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발생하는 쟁점에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하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디지털 공론장(www.beingdigital.kr)에서 시민 의견을 모으고 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 방지를 위해 연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는 ‘워터마크를 통한 딥페이크 추적 및 탐지’를 제안한 박지우·유성모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