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1.9% “딥페이크 가짜뉴스 구별 못해”

배문규 기자
‘귀하는 딥페이크를 활용하여 생성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에 대한 답변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귀하는 딥페이크를 활용하여 생성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질문에 대한 답변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민 10명 중 4명은 딥페이크를 쓴 가짜뉴스를 진짜와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지난 10~11월 약 한 달간 국민 5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를 스스로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41.9%는 ‘판별할 수 없다’고 밝혔으며, ‘어느 정도는 판별할 수 있다’가 51.9%였다. ‘판별할 수 있다’는 응답자는 6.2%에 그쳤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0%였다. 응답자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매우 심각함 56%, 심각함 38.5%)하다고 봤고, 84.9%가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인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인격적 피해(48.2%)가 가장 많이 꼽혔다.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가 지적됐다.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 및 정책(57.6%), 정부 정책으로 ‘범죄자에 대한 처벌 강화(36.9%)’를 요구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심화 시대에 발생하는 쟁점에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하는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디지털 공론장(www.beingdigital.kr)에서 시민 의견을 모으고 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 방지를 위해 연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는 ‘워터마크를 통한 딥페이크 추적 및 탐지’를 제안한 박지우·유성모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Today`s HOT
캐나다 콘월에서 이루어지는 군사 훈련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자포리자의 참담한 붕괴 현장 이색 파인애플 피자와 굿즈를 선보인 영국 루파 피자가게 베네수엘라의 1958년 독재 종식 사건 기념 집회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자이언트 판다를 위해 수확되는 대나무들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터키의 호텔 화재 희생자 장례식..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