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유럽이 자국산 전기차(BEV)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를 피하려고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를 비롯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출 비중을 늘리고 있다. 이런 흐름은 중국 업체들이 진출을 예고한 한국 시장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BYD(비야디), SAIC(상하이자동차) 등 중국 완성차 업체들은 지난 10월부터 부과된 유럽연합(EU)의 전기차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 차량 수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유럽 전략’을 수정 중이다.
앞서 EU 행정부 집행위원회가 반(反)보조금 조사를 통해 중국산 수입 전기차에 대해 5년간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하고, 최종 관세율을 최대 45.3%로 인상했지만, 이런 관세가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올해 7∼10월 중국 완성차 업체들이 유럽 시장에서 판매한 하이브리드 차량 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6만5800대를 기록했다. 또 올해 3분기 중국이 유럽에 수출한 자동차 중 하이브리드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도 18%까지 치솟았다. 올해 1분기 9%에서 2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반면 중국의 유럽 자동차 수출에서 전기차 비중은 같은 기간 62%에서 58%로 감소했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100% 전기차 관세 정책에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반(反)전동화 정책까지 더해지면서 중국 전기차의 미국 시장 진출은 아예 가로막힌 상황이다.
어떻게든 유럽 시장을 뚫어야 하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로선 하이브리드 비중 확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비야디는 지난 5월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실 U DM-i’를 유럽 시장에 내놓고 이미 폭스바겐 티구안, 도요타 C-HR PHEV와 경쟁 중이다. 실 U DM-i는 도요타와 폭스바겐 모델보다 최대 500만원까지 저렴하다. 비야디는 헝가리의 새 공장에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을 혼류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국산 하이브리드 기술이 탑재된 차들은 이미 국내 시장에 속속 들어오고 있다. 르노코리아가 지난 9월 출시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그랑 콜레오스에 들어간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프랑스 르노와 중국 지리자동차가 50 대 50 비율로 합작한 ‘호스파워트레인’이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 KG모빌리티는 현재 비야디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공동 개발 중이다. 두 회사가 공동 개발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내년 상반기 선보일 중형 SUV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실릴 예정이다. KG모빌리티는 최근 중국 체리자동차와 PHEV 플랫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 브뤼셀지부는 “중국의 하이브리드 차량 수출 증가는 치열한 가격 경쟁을 촉발할 수 있다”며 “이러한 전략이 EU의 추가적인 관세 조치를 유발하지 않도록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