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부실조합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내년에 2030억원의 무이자 자금을 포함해 총 25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9일 세종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2025년도 주요 사업추진 계획과 수산현안 대응 방향’을 발표했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지역수협 91개의 26%인 24개가 자본 적정성, 자산 건전성, 유동성, 경영위험도 등에서 부실 우려 또는 경영관리 대상이다.
노 회장은 “올해 500억원에 이어 내년에도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설립된 자회사에 500억원을 출자해 부실채권을 조속히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10월 수협 회원 조합의 부실채권을 매입·추심하는 자회사 ‘수협엔피엘대부’ 법인을 출범시킨 바 있다. 노 회장은 “수협엔피엘대부는 수협중앙회 출자에 더해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으로부터 대출받아 3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무역사업소 설치 등 해외 수산물 판로 확대 방안도 내놨다. 노 회장은 “현재 해외 8개국 11곳에 무역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중화권에 4곳이 편중돼 있다”며 “수산물 수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에서 차별화된 수출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수협중앙회는 무역사업소 설치 대상 국가로 전복과 넙치, 붕장어 등 활수산물 수출 증가세가 높은 일본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산물 내수 판매를 위한 군 급식 공급망 확대 방안도 마련했다. 수협중앙회는 군 급식 정책을 주도하는 육군본부와 ‘수산물 소비 촉진’ 업무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푸드트럭이나 조리사를 군부대에 초대해 장병에게 특식을 제공하는 ‘지역상생장병 특식’ 사업에도 참여해 군부대에 우리 수산물을 공급할 방침이다.
수협중앙회는 또 매년 반복되는 고수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종합대책을 마련한다. 노 회장은 “양식 수산물 폐사와 어장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어업인 종합 지원방안 자체 연구’를 시작했다”며 “결과가 나오는대로 공론화를 통해 제도화하고, 국가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를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