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증가로 가구당 평균부채 첫 감소···자산 양극화는 커졌다

김세훈 기자
통계청 박은영 복지통계과장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 박은영 복지통계과장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국내 가구당 평균부채가 처음으로 감소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당 순자산이 소폭 늘었다. 다만 자산 증대효과는 소득 상위 가구에 집중돼 자산 격차는 더 벌어졌다. 전체 가구 중 소득 1억원 이상 가구의 비중이 처음으로 가장 많아진 반면, 30대 이하 청년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물가 상승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9일 발표했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은 공동으로 전국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자산·부채 지표는 올해 3월, 소득·지출 지표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조사 내용을 보면 올해 가구당 평균자산은 5억4022만원으로 전년 대비 2.5% 늘었다.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1억3378만원)과 부동산 등 실물자산(4억644만원)이 각각 6.3%, 1.3% 증가했다. 저축액과 거주주택 외 주택 보유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에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1.3%포인트 늘어난 45.8%를 기록했다.

가구 평균부채는 9128만원으로 1년 전보다 0.6% 줄었다. 부채가 줄어든 것은 2011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담보·신용대출을 포함한 금융부채가 6637만원, 임대보증금이 2491만원으로 각각 0.8%, 0.1% 줄었다. 부채 보유 가구 비율은 60.7%로 1.4%포인트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금융부채가 적은 1인 가구와 60대 이상 가구가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부채보유 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1억5043만원으로 1.6% 증가했다. 부채 보유액이 3억원 이상인 가구는 13.1%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늘어났다. 부채 부담이 줄었다고 보긴 어렵다는 뜻이다. 부채는 40대(1억3148만원)와 자영업자(1억2020만원) 가구에서 많았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 평균 순자산(4억4894만원)은 1년 전보다 3.1% 증가했다.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56.9%)이 3억원 미만의 순자산을 보유했으나, 순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가구도 10.9%에 달했다. 가계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 3월 기준 전년보다 0.5%포인트 감소한 16.9%였다.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상태가 안정적이다.

하지만 자산 양극화는 커졌다. 소득 5분위별 순자산은 소득 1분위(1억4974만원)에서 2.0% 줄었다. 2분위(2억3742만원)와 3분위(3억3722만원)의 순자산도 1년 전보다 각각 1.6%, 2.3% 줄었다. 반면 소득 5분위(10억3252만원)와 4분위(4억8767만원)에서는 6.6%, 3.9%씩 늘었다.

mo1210b????????????????

mo1210b????????????????

소득 ‘1억원 이상’ 가구 비중 22.6% 첫 1위

지난해 가구소득 평균은 7185만원으로 전년 대비 6.3% 늘었다. 2011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증가폭이다. 분야별 소득이 고루 늘었다. 근로소득(4637만원), 사업소득(1272만원)은 1년 전보다 각각 5.6%, 5.5% 증가했다. 특히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자 등 재산소득은 559만원으로 전년 대비 28.1% 급증했다. 이에 재산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4%에서 7.8%로 커졌다.

지난해 가구소득이 1억원 이상인 가구 비율은 전년 대비 2.6%포인트 오른 22.6%였다. 전체 구간 중 가장 비중이 높다. 소득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가구 비중은 2022년에는 21.6%로 가장 높았으나 올해는 20.1%로 줄었다. 1000만원 미만 소득 구간도 2022년 5.2%에서 4.6%로 줄었다. 저소득층을 포함해 전반적인 소득 수준이 올라간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지난해 1분위 소득은 전년 대비 7.1% 오르면서 분위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노인 일자리 증가와 기초급여 인상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연령별로 증가율 차이가 컸다. 소득 증가 폭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 이상(10.0%)이었다. 이어 40대(8.2%), 50대(5.8%) 순이었다. 39세 이하 가구소득은 1년 전보다 1.1%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5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지난해 물가상승률(3.6%)의 3분의 1에도 못미친다. 이는 30대 이하 계층에서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1인 가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지난 3월 기준 가구주의 예상 은퇴연령은 68.3세였으나 실제 은퇴한 연령은 62.8세였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 중 생활비 충당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57.0%로 절반이 넘었다.


Today`s HOT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주현절을 맞이한 리투아니아의 풍경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1월이 가장 더운 파라과이, 개울에서 더위 식히는 사람들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날 열린 승리 집회 러시아의 베로니카 꺾고 8강 진출, 우크라이나의 엘리나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이색 축제 '코믹콘' 인도 공화국의 날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