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단체 반발 성명 발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사전 모의한 것으로 보이는 문건에서 제주4·3을 ‘폭동’이라고 명시해 지역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9일 성명을 내고 “전날 추미애 국회의원이 공개한 국군 방첩사령부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계엄사 합수본부 운영 참고자료’에 제주4·3을 ‘제주폭동’으로 명시했다”면서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군부가 4·3을 비롯해 한국현대사를 얼마나 왜곡, 편향되게 바라보는지 알 수 있는 증거”라고 밝혔다.
8일 추 의원이 공개한 문서를 보면 제주4·3은 제주폭동으로, 여순사건은 여순반란으로, 부마항쟁은 부산소요사태로 적시하고 있다. 이 문건은 계엄의 선포 절차와 계엄사령부의 구성 및 역할 등의 계획이 상세하게 기술돼 있다.
기념사업위는 “더욱이 어느 시대인데 국민에게 총칼을 겨눈 윤석열 정권의 부당함을 불이행하는 정의로운 지휘관 하나 없단 말인가”라면서 “안일한 불의의 길보다 험난한 정의의 길을 택하라던 육사의 정신은 전시용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민의힘 국회의원 105명은 헌법적 질서인 탄핵 표결 자체를 거부하면서 윤석열 쿠데타의 부역정당임을 자처했다”면서 “헌법과 주권자인 국민의명령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고, 이제라도 국민의힘은 더 이상 ‘국민의 짐’이 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 공식 보고서인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는 제주4·3사건을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