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2일차 계획도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사태 당시) 사람들은 1시2분에 비상계엄 해제 요구가 가결됐으니까 끝났다고 생각했지만 합참 지휘통제실 지하 4층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박안수 계엄사령관, 김용현 당시 국방부장관, 김명수 합동참모의장, 정진팔 합참 차장, 계엄 부사령관이 다 보고 있었다”라며 “그러면서 바로 추가 지시가 내려갔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지시는 합참 지휘통제실 시스템을 통해 바로 내려갔는데, 전북 익산 제7공수여단과 충북 증평 제13공수여단에 즉각 파견을 준비하라는 명령이 내려간 것”이라며 “바로 임무 비상대기하고 투입 준비해서 기다려라. 이게 2일차 계획인데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다만 계엄 해제로 인해 이들이 실제 출동이 이뤄지진 않았다고 했다.
박 의원은 또 김 전 장관이 대통령경호처장 재직 시절 공관에 여인형 방첩사령관, 곽종근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을 불러 회동한 것 등을 들어 “최소로 잡아도 올해 3월부터 계엄 준비가 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힌 것을 두고도 “거짓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조 원장은 계엄 선포 국무회의 통과도 보고 왔다”며 “조 원장이 국무위원도 아닌데 윤 대통령이 괜히 부르지 않았을 것이고 뭔가 지시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