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직격탄’ 맞은 두산, 사업개편 무산

김경학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밥캣·로보틱스 분할합병 위한 임시 주총 철회

‘12·3 사태’ 뒤 주가 20% 폭락·2대 주주 국민연금 ‘기권’ 결정타

두산에너빌리티가 12일 예정했던 임시 주주총회를 철회했다. 임시 주총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보유한 두산밥캣 지분을 두산로보틱스로 넘기는 분할합병 건을 승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12·3 비상계엄 사태 등으로 주가가 급락하며 주식매수청구권 부담이 커졌고, 2대 주주인 국민연금공단도 사실상 등을 돌리면서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은 무산됐다.

두산에너빌리티는 10일 박상현 대표 명의로 주주 서한을 보냈다. 박 대표는 서한에서 “최근 갑작스러운 외부 환경 변화로 촉발된 시장 혼란으로 인해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임시 주총을 철회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이어 “(분할합병 안건) 가결 요건의 충족 여부가 불확실해지고 또한 당초 예상한 주식매수청구권을 초과할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에서 주주님들께 계속 불확실성을 남겨두는 것보다 빠르게 의사결정을 해서 회사의 방향을 알려드리는 편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두산그룹은 지난 7월11일 계열사 재배치를 통한 사업구조 재편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자회사이자 그룹의 ‘알짜 계열사’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떼어내 두산로보틱스로 이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분할합병 비율 등이 두산에너빌리티 일반 주주에게 불리하고 대주주 등 그룹 측에 유리하다는 지적이 나왔고, 금융감독원도 비율 재산정 등을 요구했다. 지난 10월 분할합병 비율 등을 재산정한 두산그룹은 두산에너빌리티 임시 주총을 열어 분할합병 계약을 승인하려고 했다.

분할합병 추진에 제동을 건 것은 ‘주가’였다. 두산그룹은 분할합병에 반대하는 주주들을 달래기 위해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약속된 주가에 주식을 사주겠다는 주식매수청구권을 제시했다. 약속한 주가는 두산에너빌리티 2만890원, 두산로보틱스 8만472원이었다.

그러나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표 원전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 주가가 급락했다. 비상계엄 선포 전 2만1150원이던 주가는 다음날 1만9000원으로 10%가량 폭락했고, 이날 1만7180원에 거래를 마쳤다. 5거래일 새 20% 가까이 하락한 것이다. 임시 주총이 철회된 이날 두산로보틱스 주가도 전날보다 9.06% 하락한 5만22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두산에너빌리티 지분을 약 7% 보유한 국민연금의 ‘기권’ 결정도 임시 주총 철회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 앞서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지난 9일 주식매수청구권을 확보하기 위해 두산에너빌리티의 주가가 약속한 주가보다 높으면 분할합병에 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건부 찬성이지만, 며칠 사이 주가가 2만890원까지 오르기 힘들어 사실상 기권표를 던진 것이다.

박 대표는 주주 서한에서 “철회와 관련해 대안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추가 투자 자금 확보 방안과 이를 통한 성장 가속화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에 대해 신중한 검토를 통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Today`s HOT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