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역량조사…16~65세 언어·수리 능력 ‘평균 이하’
16~24세 점수는 높아…“고령화로 중장년 표본 많은 탓”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수리능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못 미치고, 10년 전보다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중 16~24세의 언어능력·수리능력이 OECD 평균을 웃돌았다.
OECD가 10일 공개한 국제성인역량조사 결과를 보면 만 16~65세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 점수는 249점, 수리력은 253점이었다. 적응적 문제해결력은 238점이었다.
한국 성인은 3개 영역에서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은 점수가 나왔다. OECD 평균은 언어능력 260점, 수리력 263점, 적응적 문제해결력 251점이었다.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은 가장 낮은 역량 수준인 ‘1수준 이하’ 비율이 30.8%로 OECD 평균(26%)보다 높았다. 가장 높은 수준인 4~5수준 비율은 OECD 평균(11.7%)과 비교해 절반 수준(5.6%)에 그쳤다.
한국 성인 수리력의 상위 4~5수준 비율(6.6%) 또한 OECD 평균(13.9%)의 절반 수준이었다.
OECD 역량조사는 직업 역량과 연관지어 문제가 출제된다. 안내문이나 가정통신문을 제시하고 상황에 맞는 문제해결 능력을 확인하는 식이다. 수리력 또한 생활 맥락 속에서 문제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OECD는 언어능력 평가를 “개인의 목표를 이루고, 지식과 능력을 개발하며,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쓰인 글에 접근하고, 이를 이해하고, 평가하며, 성찰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OECD가 2011~2012년 진행한 첫 번째 역량조사 때보다도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수리력 점수가 하락했다. 10여년 전 이뤄진 첫 조사에서 한국 성인의 언어능력은 273점이었는데 이번 조사에선 249점으로 떨어졌다.
수리력도 첫 조사(263점) 때보다 10점 하락했다.
분석 대상을 만 16~24세로 한정하면 언어능력(276점)과 수리력(273점) 평균 점수가 OECD 평균보다 높았다. 만 16~24세 OECD 평균 언어능력과 수리력은 각각 273점, 272점이었다.
교육부는 다른 국가 조사 결과 등이 공개되면 한국 성인의 역량이 떨어진 이유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연령대별 인구에 비례해 표본 추출을 하기 때문에 급속한 고령화가 이뤄진 한국에선 중장년층 표본이 많았을 것”이라며 “OECD 국가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역량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는데, 이 같은 인구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한국 성인은 실제 학력 수준이 일자리에서 요구하는 학력 수준보다 높은 ‘학력 과잉’ 비율(31.3%)이 높은 것으로도 집계됐다. 이는 OECD 평균(23.4%)보다 높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