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위권”이라더니…한국 AI 수준 ‘마이너리그’로 분류

이진주 기자    노도현 기자
BCG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 캡처

BCG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 캡처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성숙도와 잠재력 수준이 상위 5개국에 들지 못하고 2군으로 분류된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의 AI 수준이 세계 3위권’이라는 정부의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난다. 미국·중국에 이은 세계 3위권으로 진단하고 ‘AI 기본계획’ 수립에 나선 우리 정부의 인식과는 괴리가 있어 정책 방향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최근 73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조사 대상국의 AI 도입 현황을 평가하고 해당국의 AI 기술에 기반한 경제 발전 잠재력을 분석했다.

캐나다,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등 5개국만이 ‘AI 선도국’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이들 국가는 투자, 인프라 같은 요소를 결합해 높은 수준의 준비 상태를 보였다”며 “혁신, 인재 개발, AI 규제 및 윤리 분야에서 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고 평했다. 미국과 싱가포르가 강력한 AI 인재 풀을 갖췄고, 중국이 AI 관련 특허와 논문에서 선두를 달린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은 다음 단계인 ‘안정적 경쟁국’에 포함됐다. 호주,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말레이시아, 스페인, 대만 등 총 23개국이 안정적 경쟁국 명단에 올랐다. 보고서는 그룹 내에서 별도 순위나 점수를 매기진 않았다. 보고서는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신흥 경쟁국’까지 포함한 경쟁국의 전략으로 “틈새시장이나 전문화된 시장에서 지분을 확대할 것”을 제시했다.

정부는 그간 국내 AI 역량을 언급할 때 영국 토더스미디어가 산출한 ‘글로벌 AI 인덱스’를 주로 인용했다. 올해 9월 발표된 ‘2024 글로벌 AI 인덱스’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83개국 중 6위였다. 1위 미국을 10점으로 봤을 때 한국은 27.26점이었다. 정부는 3위 싱가포르(32.33점)와 8위 캐나다(26.39점) 사이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들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3위권 그룹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BCG 분석 결과와는 괴리가 있는 셈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국내 AI 산업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다. AI 산업 육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적 기반이 될 ‘AI 기본법’은 당초 연내 통과가 예상됐지만 계엄 사태 이후 표류하고 있다. 업계는 AI 개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선 법적 기준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 ‘단통법 폐지안’을 비롯한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법안도 뒷전으로 밀려난 상태다.


Today`s HOT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차별 종식, 인도에서 열린 트랜스젠더들의 집회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브뤼셀에서 열린 근로 조건 개선 시위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새해 맞이 번영 기원, 불가리아 수바 의식 일본 경제의 활성화, 관광객들의 신사 유적지 방문 놀란 마을 주민들, 멜버른에서 일어난 주택 붕괴.. 태국의 심각한 미세먼지.. 대기 오염을 초래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