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계엄군 ‘방통위 파견 요청’, 군 정보기관 소행 의혹…‘02-748-XXXX’ 번호 3개 확보

손우성 기자    곽희양 기자

방통위, 4일 0시 ‘02-748’ 3개 번호로 전화받아

‘국군방첩사령부’ 안내음…군 정보기관 의심

노종면 “내란 세력, 언론통제 위해 즉각 행동”

국회의사당 앞에서 지난 9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김창길 기자

국회의사당 앞에서 지난 9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김창길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방송통신위원회에 연락관 파견을 요청한 곳이 군 정보기관이라는 의혹이 11일 제기됐다.

방통위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밤부터 4일까지 대통령실·대통령 경호처·국방부·육군·계엄사령부·경찰청·법무부·대검찰청 등으로부터 공문 또는 구두지시, 메일 등을 받은 바가 있느냐는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질의에 “연락관 파견 요청을 받았으나 파견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노 의원실에 따르면 방통위는 4일 오전 0시쯤 ‘02-748’로 시작하는 각기 다른 3개 번호로 연락을 받았다. 해당 번호로 다시 전화를 걸면 ‘군사간첩, 테러범, 군사기밀 유출자, 방산스파이, 보안·방첩 분야 신고는 국군방첩사령부 또는 국번 없이 1337로 연락해주시기 바란다’는 안내음이 나온다. 국방부와 육군, 방첩사는 해당 번호가 자신들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방통위에 연락관 파견을 요청한 주체가 군 정보기관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군 관계자는 “안내음은 일반적인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비상계엄 선포 당시 내려진 포고령 1호 3항엔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라고 명시돼 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포고령에 따른 ‘통제’를 명분 삼아 언론 탄압을 하기 위해 방통위에 연락관 파견을 요청한 것으로 의심된다.

앞서 계엄사령부가 지난 3일 밤 대법원에 업무에 필요한 인원을 보내 달라는 파견 요청을 보냈다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법원행정처는 간부급 긴급회의를 소집해 계엄사의 요구 사항을 검토하고 이에 응하지 않았다.

노종면 의원은 “위헌적 비상계엄 이후 내란 세력들이 언론통제를 위해 즉각적으로 행동에 나섰던 것이 확인됐다”며 “내란 세력의 언론통제 의도가 명확하게 확인된 만큼 수사를 통해 누가, 언제, 왜 이런 지시를 내렸는지 명확한 진실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Today`s HOT
2025 도쿄 오토 살롱 말레이시아-일본의 상호 보완 관계 회담 캘리포니아 산불 희생자 특별 미사.. 2025 앨비스 페스티벌
이집트의 귀중한 유적지, 복원 작업을 하다. 구 격전지의 시리아 지역.. 활기를 되찾는 사람들
티베트의 지진으로 촛불 집회에 나선 사람들.. 레바논의 새 대통령, 조셉 아운의 취임식
규모 6.8의 대지진이 일어난 중국에서의 구호 활동 필리핀에서 열린 검은 나사렛의 종교 행렬 대만 해군의 군사 훈련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프랑스를 방문하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