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안전성 정보에서 나뭇잎 개수의 의미. 환경부 제공](https://img.khan.co.kr/news/2024/12/11/news-p.v1.20241211.0be64da22d944af888faff6353294336_P1.jpg)
원료 안전성 정보에서 나뭇잎 개수의 의미. 환경부 제공
세정제, 방향제, 습기제거제 등 생활화학제품의 원료 정보에서 ‘나뭇잎’ 수가 몇 개인지를 보면 어느 정도 위험도를 지닌 물질이 사용됐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 자율 안전 정보 공개 시범사업’에 참여한 15개 기업의 76개 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를 12일 ‘초록누리’(ecolife.me.go.kr)에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각 제품에 사용된 원료 안전성 정보는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나뭇잎 개수로 표시된다. 나뭇잎 개수의 의미는 4개의 경우 ‘유해 우려 없음’, 3개는 ‘유해 우려 낮음’, 2개는 ‘용도·제형에 따라 사용 가능’, 1개는 ‘안전한 원료로 대체 권장’ 등이다. 나뭇잎 수가 4개에 가까울수록 안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원료 안전성 정보가 공개되는 76개 제품의 원료물질 나뭇잎 개수를 보면 3개가 55.8%(342종)로 가장 많았다. 이어 2개(19.4%·119종)와 4개(14.7%·90종)가 뒤를 이었다. 나뭇잎이 1개인 물질은 없었다. 10.1%(62종)는 아직 등급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다.
원료 안전성 정보가 공개되는 제품은 엘지생활건강 ‘한입 베이킹소다수’ 등 세정제 20개, 메디앙스 ‘비앤비 섬유세제’ 등 세탁세제 12개, 라이온코리아의 ‘포린스 핑크로즈’ 등 섬유유연제 10개, 방향제 9개, 습기제거제 5개, 탈취제 5개 등이다. 불스원 레인오케이 에탄올 그린 워셔 등 자동차용 워셔액 4개와 광택코팅제 3개, 자동차용부동액 3개, 표백제 3개, 제거제 2개 등도 원료 안전성 정보가 공개된다.
환경부는 내년 상반기 중 차세대 화학제품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사용상 주의사항 등 다양한 추가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화학제품 자율 안전정보 공개를 통해 소비자는 안전성 정보를 쉽게 인지하고, 기업은 제품 원료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 신뢰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