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홈쇼핑과 백화점·대형마트 수수료율 다시 올랐다

김세훈 기자
유통업체별 실질수수료율 추이.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유통업체별 실질수수료율 추이. 공정거래위원회 제공

지난해 TV홈쇼핑·백화점·대형마트 업체의 판매수수료율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렛과 복합쇼핑몰은 수수료율 하락폭이 축소됐다. 이에 납품업체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대형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실태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실질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곳은 TV홈쇼핑으로 27.3%으로 나타났다. 이어 백화점 19.2%, 대형마트 18.2%, 아울렛·복합쇼핑몰 12.8%, 온라인쇼핑몰 11.8% 순이었다. 실질수수료율은 유통업체가 납품, 입점업체로부터 받은 수수료금액과 판촉비·물류비 등 추가비용의 합을 상품판매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직매입 거래는 집계에서 제외된다.

지난해까지는 수수료율 하락추세가 뚜렷했으나, 올해는 대부분 업계에서 수수료율이 상승하거나 하락폭이 둔화됐다. TV홈쇼핑과 백화점, 대형마트는 전년보다 0.1~0.4%포인트 수수료율이 상승했다. 매년 0.4~0.6%포인트씩 하락해온 아울렛·복합쇼핑몰의 수수료율 하락 폭도 0.1%포인트에 그쳤다.

온라인 쇼핑몰 수수료율은 전년(12.3%)보다 소폭 내렸지만 이는 쿠팡이 특약매입거래를 중단한 영향이다. 쿠팡을 제외한 업계 전반의 수수료율은 2022년 9.4%에서 지난해 10.0%로 올랐다.

업체별로 실질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GS홈쇼핑(30.1%), AK백화점(20.4%), 이마트(19.2%), 뉴코아아울렛(17.6%), 쿠팡(29.8%) 등이었다.

중소·중견기업인 납품업체는 대기업인 납품업체보다 평균 4.2%포인트 더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부담했다. 다만 두 그룹 간 격차는 전년(4.6%포인트)보다 소폭 줄었다.

직매입 거래에서 판매장려금을 지급한 납품업체 수 비율은 편의점(50.3%)이 가장 높고, 이어 대형마트(24.7%), 온라인쇼핑몰(14.6%), 백화점(3.7%) 순이었다. 판매장려금은 매장 진열 등 판매 촉진을 위해 납품업체가 유통업체에 지급하는 금액이다.

직매입 거래 비중이 높은 편의점·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몰 분야에서 거래금액 대비 판매장려금 비율은 전년대비 0.1~0.7%포인트 늘었다. 특히 온라인쇼핑몰 분야는 2019년 1.1%에서 지난해 3.2%로 5년간 비율이 꾸준히 올랐다.

공정위는 “각종 추가 비용 등 납품업체의 부담이 증가한 항목에 대해서는 거래관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유통업체의 각종 비용의 수취 과정에 불공정행위가 없는지 중점적으로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캐나다 콘월에서 이루어지는 군사 훈련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 자포리자의 참담한 붕괴 현장 이색 파인애플 피자와 굿즈를 선보인 영국 루파 피자가게 베네수엘라의 1958년 독재 종식 사건 기념 집회
프랑스 에너지 강화 원동력,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자이언트 판다를 위해 수확되는 대나무들
카스타익에서 일어난 화재, 소방관들이 출동하다. 터키의 호텔 화재 희생자 장례식..
안티오크 학교 총격 사건으로 미국은 추모의 분위기.. 주간 청중에서 산불 겪은 미국을 위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동남아 최초, 태국 동성 결혼 시행 브라질의 더운 날씨, 더위를 식히려는 모습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