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TV홈쇼핑·백화점·대형마트 업체의 판매수수료율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렛과 복합쇼핑몰은 수수료율 하락폭이 축소됐다. 이에 납품업체들의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대형유통업체 판매수수료율 등 실태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실질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곳은 TV홈쇼핑으로 27.3%으로 나타났다. 이어 백화점 19.2%, 대형마트 18.2%, 아울렛·복합쇼핑몰 12.8%, 온라인쇼핑몰 11.8% 순이었다. 실질수수료율은 유통업체가 납품, 입점업체로부터 받은 수수료금액과 판촉비·물류비 등 추가비용의 합을 상품판매총액으로 나눈 값이다. 직매입 거래는 집계에서 제외된다.
지난해까지는 수수료율 하락추세가 뚜렷했으나, 올해는 대부분 업계에서 수수료율이 상승하거나 하락폭이 둔화됐다. TV홈쇼핑과 백화점, 대형마트는 전년보다 0.1~0.4%포인트 수수료율이 상승했다. 매년 0.4~0.6%포인트씩 하락해온 아울렛·복합쇼핑몰의 수수료율 하락 폭도 0.1%포인트에 그쳤다.
온라인 쇼핑몰 수수료율은 전년(12.3%)보다 소폭 내렸지만 이는 쿠팡이 특약매입거래를 중단한 영향이다. 쿠팡을 제외한 업계 전반의 수수료율은 2022년 9.4%에서 지난해 10.0%로 올랐다.
업체별로 실질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GS홈쇼핑(30.1%), AK백화점(20.4%), 이마트(19.2%), 뉴코아아울렛(17.6%), 쿠팡(29.8%) 등이었다.
중소·중견기업인 납품업체는 대기업인 납품업체보다 평균 4.2%포인트 더 높은 실질수수료율을 부담했다. 다만 두 그룹 간 격차는 전년(4.6%포인트)보다 소폭 줄었다.
직매입 거래에서 판매장려금을 지급한 납품업체 수 비율은 편의점(50.3%)이 가장 높고, 이어 대형마트(24.7%), 온라인쇼핑몰(14.6%), 백화점(3.7%) 순이었다. 판매장려금은 매장 진열 등 판매 촉진을 위해 납품업체가 유통업체에 지급하는 금액이다.
직매입 거래 비중이 높은 편의점·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몰 분야에서 거래금액 대비 판매장려금 비율은 전년대비 0.1~0.7%포인트 늘었다. 특히 온라인쇼핑몰 분야는 2019년 1.1%에서 지난해 3.2%로 5년간 비율이 꾸준히 올랐다.
공정위는 “각종 추가 비용 등 납품업체의 부담이 증가한 항목에 대해서는 거래관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유통업체의 각종 비용의 수취 과정에 불공정행위가 없는지 중점적으로 감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