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문학 도시’ ‘한강의 고향’…광주·전남 지자체 ‘기념사업’ 본격화

강현석 기자    고귀한 기자

광주시, 한강 살던 집 인근에 기념공간 추진
장흥군은 노벨 산책로·노벨 문학공원 조성
“교감 없이 과도한 지역색 입히기 경계해야”

한강 작가 의노벨 문학상 수상을 축하는 시민 행사가 지난 10일 오후 광주광역시청 시민홀에서 진행됐다. 광주시 제공

한강 작가 의노벨 문학상 수상을 축하는 시민 행사가 지난 10일 오후 광주광역시청 시민홀에서 진행됐다. 광주시 제공

한강 작가가 대한민국 첫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광주와 전남지역 지자체들이 본격적인 기념사업에 나섰다. 한강이 어린 시절을 보낸 광주시와 아버지 한승원 소설가가 살고 있는 전남 장흥군이 가장 적극적이다.

하지만 작가가 기념사업에 부정적인 태도를 밝힌 상황에서 ‘작가와의 인연’을 내세우며 과도한 ‘지역색 입히기’는 경계해야 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 북구 중흥동의 빈 땅 148㎡를 매입해 한강 작가 기념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이곳은 한강 작가가 어린 시절 2년쯤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집과 40m정도 떨어진 곳이다. 시는 지난달 4억7000만원에 해당 터를 샀다.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발표된 이후 기념 공간 조성에 나선 광주시는 작가가 살았던 건물 소유주와 협의가 이뤄지지 않자, 대신 인근 부지를 사들였다. 시는 내년부터 이곳에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소설 <소년의 온다>를 주제로 한 ‘북 카페’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1970년 광주에서 태어난 한강은 1980년 1월 서울로 이사해 서울에서 초·중·고와 대학을 졸업했다. 광주시는 “한 작가가 살았던 곳은 아니지만 인근에서 태어났고 효동초등학교를 다니다 서울로 이사를 간 만큼 상징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강 작가의 아버지인 한승원 소설가의 고향인 전남 장흥군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장흥 회진면에서 태어난 한승원 소설가는 1990년대 말 장흥 안양면에 집필실인 ‘해산토굴’을 짓고 살고 있다.

장흥군은 “한강 작가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고향 장흥을 찾곤 했다”면서 “대한민국 최초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문학적 뿌리가 장흥”이라고 내세운다.

장흥군은 ‘노벨 문학 도시 장흥’을 새로운 군정 비전으로 확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사업에 착수한다. 해안도로에 ‘노벨 문학 산책로’를 만들고 천관산에는 ‘노벨 문학공원’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존의 ‘한승원 산책로’는 한강까지 포함하는 ‘부녀 문학 산책로’로 정비하겠다는 구상이다.

전남도는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을 계기로 도차원의 문학박람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도가 운영하는 ‘전남문학관’ 건립도 추진된다. 그동안 전남에는 11개 시·군에서 해당 지역 작가들을 기념하는 문학관을 설립해 운영해 왔다.

지자체의 이런 움직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발표된 직후 “자신의 이름을 딴 기념사업 등을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한 상황에서 작가의 동의 없이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형미 오월어머니집 관장은 “<소년이 온다>는 한 인물의 이야기가 아닌 모든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의 이야기다”며 “개인과 특정 지역에 억지로 초점을 맞추고 연관 지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한 작가도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태 시인(전 조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은 “과한 지역색 입히기 등 지역 이기주의로 기념사업을 몰고 가서는 안 된다”라면서 “노벨 문학상 수상 업적과 책의 의미를 곱씹어 사업을 한 곳으로 응축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oday`s HOT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악천후 속 준비하는 스페이스X 스타십 로켓 발사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암 치료 받은 케이트 공주, 병원에서 환자들과 소통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콜롬비아의 높은 섬유 수요, 공장에서 바쁘게 일하는 직원들 산불 진압, 복구에 노력하는 소방 대원들 이스라엘-가자 휴전 협상과 인질 석방 촉구 시위 네팔의 전통적인 브라타반다 성인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