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용기 절반만 재사용돼도 소나무 14만그루 심는 효과 거둬”

김기범 기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주장

1분에 9개씩 팔리는 화장품 용기가 절반 정도만 재사용되더라도 약 14만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는 11일 ‘화장품 용기 재사용 탄소발자국 결과 공유회’를 온라인으로 열고 지난 10월22일부터 지난달 6일까지 알맹상점에 수거된 화장품 용기 중 에스티로더·네이처리퍼블릭 등 국내외 브랜드의 11개 제품을 대상으로 탄소발자국을 산정해 공개했다.

알맹상점은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포장재가 없는 제품을 ‘리필’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 ‘제로웨이스트숍’이다. 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생산·유통·사용·폐기 등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뜻한다.

연구소는 11개 제품 중 가장 탄소발자국이 적은 제품으로 아벤느 로션을 꼽았다. 이 로션 용기 1개당 중량은 29.0g이고, 탄소발자국은 73.1g CO₂eq였다. 반면 가장 탄소발자국이 높은 제품은 대웅제약 로션이었다. 용기 1개당 중량은 137.0g으로, 탄소발자국은 449.1g CO₂eq로 산정됐다. 두 제품의 탄소발자국 차이는 약 6.14배에 달한다. 이산화탄소 환산량을 의미하는 CO₂eq는 여러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수치를 의미한다.

연구소는 또 “1분에 9개씩 판매된다”고 광고하는 에스티로더 어드밴스드나이트리페어 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될 때 줄어드는 탄소발자국도 추정해 발표했다. 1982년부터 판매된 이 제품의 용기가 20% 재사용되면 5만5193그루, 50% 재사용되면 13만7983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가꾼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시간에 30개꼴로 판매된다는 숨37°에센스도 20%, 50%가 재사용되면 각각 1만820그루, 2만7051그루를 심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소는 다수의 화장품 용기가 재활용이 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소재 종류가 지나치게 많은 점을 문제로 꼽았다.


Today`s HOT
타이둥현 군 기지를 시찰하는 라이칭 테 대만 총통 세계 지도자 평화와 화합 콘서트의 홍타오 박사 베를린 국제 영화제 위한 곰 트로피 제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주현절을 맞이한 리투아니아의 풍경 중국의 춘절을 맞이하는 각 나라들의 모습
1월이 가장 더운 파라과이, 개울에서 더위 식히는 사람들 가자-이스라엘 휴전 합의, 석방된 팔레스타인 사람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전 날 열린 승리 집회 러시아의 베로니카 꺾고 8강 진출, 우크라이나의 엘리나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린 이색 축제 '코믹콘' 인도 공화국의 날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