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으로부터 “국경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받고 있는 캐나다가 미국과의 국경에 무인기(드론)를 띄우고 경비견을 투입하는 등 국경 강화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관세 위협이 현실화될 경우 심각한 경제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는 11일(현지시간) 캐나다가 트럼프 당선인의 국경 경비 강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25일 마약과 범죄자들이 캐나다와 멕시코 국경을 통해 미국에 유입된다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는 드론과 경비견 부대를 국경 지역에 투입하고, 육로를 통한 국경 통과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국경을 건너는 캐나다인의 전과 기록 등 개인 정보를 미국당국에 추가로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캐나다는 미국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된 ‘좀비 마약’ 펜타닐 밀수를 차단하기 위한 예산도 늘릴 계획이다. 펜타닐 성분을 감지해 밀수를 적발하거나 펜타닐의 성분 분석을 통해 생산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 투자도 하기로 했다. 캐나다 정부는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는 내년 1월20일 이전에 국경 강화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캐나다가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은 실제로 트럼프 당선인이 캐나다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경제적으로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캐나다의 지난해 미국 수출액은 5927억캐나다달러(약 600조원)에 달한다. 전체 수출액의 4분의 3 이상이다.
앞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미국 플로리다주의 트럼프 당선인 자택까지 찾아가 문제 해결을 시도한 것도 관세 폭탄 위협이 단순히 ‘빈말’이 아닐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당시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관심 있는 분야를 언급하면서 관세부과 계획을 철회하기 위한 분위기 조성에 나섰지만, 트럼프 당선인은 “요구사항 이행이 불가능하면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라”는 ‘외교적 결례’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위대한 캐나다주(Great State of Canada)의 쥐스탱 트뤼도 주지사(Governor)와 식사를 해 기뻤다”는 글을 올리며 트뤼도 총리를 조롱하기도 했다.
캐나다 일각에선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폭탄 위협에 대해 무릎을 꿇지 말고 맞불을 놓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캐나다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온타리오 주정부의 더그 포드 총리는 “뉴욕과 미시간 등으로 보내는 전기 공급을 중단하면 미국도 고통을 느낄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