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계엄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 알리려는 경고…끝까지 싸울 것”

유새슬 기자    박순봉 기자

“야당 탓에 국가 위기” “국회는 헌정질서 파괴 괴물”

“계엄, 사법 심사 대상 아냐” “끝까지 싸우겠다”

야당 “내란 수괴의 광기” 한동훈 “사실상 내란 자백”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담화를 통해 12·3 비상계엄 사태 책임을 야당에 돌리고, 위헌적 계엄의 정당성을 강변했다. 또 자진 사퇴 요구를 일축하고 끝까지 법적 다툼을 이어가겠다고 선포했다. 야당은 “내란 수괴의 광기를 보았다”고 비판했다. 여당 대표조차 “사실상 내란 자백”이라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약 29분간 5699자 분량의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야당은 비상계엄 선포가 내란죄에 해당한다며 광란의 칼춤을 추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야당의 정부 관계자 탄핵 추진, 예산안 삭감 탓에 “국정 마비”와 “국가 위기 상황”이 도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거대 야당이 지배하는 국회가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괴물이 됐다”며 “이런 사람들이야말로 나라를 망치려는 반국가세력”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 핵심인 선거를 관리하는 전산시스템이 이렇게 엉터리인데 어떻게 국민들이 선거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겠나”라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부정 선거 의혹도 이번 비상계엄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비상계엄의 목적은 국민들에게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지키려 했던 것”이라며 “그 길밖에 없다고 판단해서 내린 대통령의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가 어떻게 내란이 될 수 있나”라고 말했다.

그는 “소규모지만 병력을 국회에 투입한 이유도 거대 야당의 망국적 행태를 상징적으로 알리고 질서 유지를 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회를 해산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려는 것은 아님을 자명하다”고 했다. 그는 “도대체 2시간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나”며 “질서 유지를 위해 소수의 병력을 잠시 투입한 것이 폭동이란 말인가”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거대 야당이 거짓 선동으로 탄핵을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이겠나”라며 “거대 야당 대표의 유죄 선고가 임박하자 대통령의 탄핵을 통해 이를 회피하고 조기 대선을 치르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국헌 문란 행위”라고 말했다. 그는 “국정 마비와 국헌 문란을 주도한 세력과 범죄자 집단이 국정을 장악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협하는 일만큼은 어떤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한다”고 했다. 또 “나를 탄핵하든, 수사하든 이에 당당히 맞설 것”이라며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담화에 대해 “참담하다”며 “국회에 경고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는 것은 민주주의 헌정질서에서 절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내란 수괴의 광기를 보았다”면서 “내란을 끝내지 않겠다는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윤석열을 이대로 두면 거짓선동과 극단적 분열이 대한민국을 회복할 수 없는 위기에 빠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사실상 내란을 자백하는 취지”라고 평가하고 윤 대통령 제명 또는 출당을 위한 긴급 윤리위원회 소집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담화 후 지난 10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법률안과 시행령안을 재가했다. 윤 대통령은 국회를 통과한 ‘윤석열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오는 1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윤 대통령의 권한 행사는 즉시 정지된다.


Today`s HOT
애들레이드 사이클링에 참가한 선수들과 우승한 다니엘 헨겔드 프랑스의 해안선 후퇴를 막는 산림청과 어린이들의 노력 사람들의 인기를 끄는 상하이 EH216-S 헬리콥터 고베 대지진 30주년 된 일본, 희생자들을 기억하다.
모잠비크 다니엘 샤푸 대통령 취임식 100주년 파트너십 맺은 영국-우크라이나의 회담
산불 피해 학생들, 타 학교로 이동하다. 카불에서 열린 이스라엘-하마스 휴정 기념회
주간 청중의 날, 서커스 공연을 보는 교황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 겨울 산불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 기념과 희생자 추모식 이란-타지키스탄 공화국 대통령의 만남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