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내 최고위원 4명 사퇴로
‘한동훈 체제 붕괴’ 시나리오
“한, 탄핵 찬성…사퇴하겠나”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1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시 사퇴할 지에 대해 “전 아직 그에 대해 별다른 결정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나와 “김민전 최고위원이 사퇴한다고 했으니 나머지 3명이 사퇴를 더 해야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떻게 하는 게 맞냐”는 추가 질문에 “그 점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현재 당에서는 친윤석열(친윤)계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됐을 때 최고위원 줄사퇴로 한동훈 대표 체제가 붕괴하고 비대위로 전환된다는 시나리오가 돌고 있다.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비대위로 전환되는데, 장동혁·진종오 최고위원은 친한동훈(친한)계, 김재원·김민전·인요한 최고위원이 친윤계로 분류된다. 친윤계 최고위원 3명에다 탄핵안에 반대 의사를 밝힌 장동혁 최고위원까지 사퇴한다는 것이 시나리오의 골자인데 김재원 최고위원은 판단 보류 의사를 밝힌 것이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한 대표의 탄핵안 가결 후 사퇴 가능성에 대해 “한 대표는 탄핵이 소신”이라며 “탄핵이 가결된다고 해서 사퇴할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는 지도부가 사퇴하지 않았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지도부가 탄핵을 막겠다고 해서 탄핵을 막기 위해서 전심 전력을 다했는데 막지 못했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역할을 하지 못했으니까 사퇴하겠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한 대표는 탄핵을 찬성할 뿐만 아니라 탄핵을 관철시키는 것이 이 저 굉장한 소신인 것처럼 보여지고 있다”며 “탄핵이 통과됐다고 해서 사퇴하실 가능성은 명분이 아니고 그럴 생각이 없을 걸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 최고위원은 전날 한 대표가 윤 대통령을 출당시킨다고 당 윤리위원회를 소집한 데 대해선 “최고위원회에 연락조차 한 적이 없다”며 “이렇게 당을 운영하기 때문에 당내 다른 의원들, 많은 분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다급한 일을 해결할 때는 다급하게 하면 오히려 되지 않는 결과가 많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