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이런 연대도 있다···“탄핵 디자인 필요한 단체 있어요?”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이런 연대도 있다···“탄핵 디자인 필요한 단체 있어요?”

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가 오는 2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 이후 송년회를 연다. 홍보물은 그래픽 디자이너 김희경씨(26)가 박민영 친구사이 활동가와 협업해 만든 첫 ‘연대 작업물’이다. 친구사이·김희경씨 제공

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가 오는 2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 이후 송년회를 연다. 홍보물은 그래픽 디자이너 김희경씨(26)가 박민영 친구사이 활동가와 협업해 만든 첫 ‘연대 작업물’이다. 친구사이·김희경씨 제공

“그래픽 디자인 노동을 통한 연대를 제안합니다.”

지난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이 올라왔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윤 대통령 탄핵 집회’와 관련한 그래픽 작업물을 만들 필요가 있을 때 연대하겠다는 그래픽 디자이너 김희경씨(26)의 제안이었다. 그는 동료 디자이너들에게도 ‘그래픽 디자인 노동으로 연대하자’고 제안했다. 하루 만에 경력도, 소속도 다양한 디자이너 12명이 모였다. 게이인권단체 친구사이의 의뢰로 만든 첫 ‘연대 작업물’도 공개됐다.

김씨가 연대에 나선 이유는 뭘까. 김씨는 디자인이 ‘예쁘게 꾸미는 것’ ‘힙하고 세련된 것’ 이상의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상업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도 담아낼 수 있다고 본다. 김씨는 “먹고 사는 문제에 비해 ‘사치스럽다’고 생각되는 예술이지만,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장애인 단체의 이동권 투쟁이 지하철 엘리베이터를 만들어냈듯이, 지금의 연대가 멀리멀리 돌아서 내 삶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가 이런 제안을 하게 된 건 12·3 비상계엄 사태 때 ‘국회로 달려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 부채감이 계기가 됐다. 김씨는 “국회로 가는 것 자체를 상상하지 못했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더 상상한 결과”라고 말했다.

김씨는 인권단체 등이 필요한 그래픽 디자인으로 연대하는 게 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폭증한 단체 활동가들의 업무를 덜어줄 수 있고, 빠르고 아름답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자인에 전문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돈으로 후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집회에 직접 참석하고 피켓을 들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힘을 만들어내듯이 디자인 노동을 통한 연대도 단체들과 상호작용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주위 디자이너들의 호응도 있었다. 김씨가 평소 동경하던 디자이너를 비롯해 많은 사람이 김씨의 제안을 SNS에서 공유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한 박도환씨(30)는 “비상계엄이 발동되고 출판물이 제한되고, 언론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포고령이 나왔다”며 “거짓된 정보를 위한 책을 디자인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가 있고, 내 삶과도 연관된 문제”라고 나서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김씨는 “14일에 윤 대통령을 탄핵한다고 해도 갑자기 세상이 유토피아가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오랜 싸움이 필요할 때 사람들을 모으고, 투쟁하는 사람들도 무게에 짓눌리지 않게 하는 방법이 예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