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탄핵소추안이 14일 가결된 데는 탄핵 정국을 주도한 야권 192명의 찬성표에 더해 국민의힘 내 ‘샤이 찬성표’가 작용했다. 국민의힘 친한동훈(친한)계와 소장파에서 12명의 의원이 ‘탄핵 반대’ 당론을 거스르고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윤 대통령 탄핵안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의원 300명 전원이 투표에 참석해 찬성 204표, 반대 85표, 기권 3표, 무효 8표로 재적 의원 3분의2(200명) 이상인 의결정족수를 채워 가결됐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소속 의원 192명이 모두 찬성 투표한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국민의힘에서 최소 12명이 찬성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투표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12명이 찬성, 85명이 반대, 11명이 기권·무효를 택했을 것이란 추정도 가능하다.
국민의힘에선 전날까지 안철수·김예지·김상욱·조경태·김재섭·진종오·한지아 의원 등 7명이 공개적으로 찬성 의사를 밝혀 의결정족수(200명)를 채울 ‘매직넘버 8’를 완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날 실제 표결에서 자신의 표결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찬성표를 던진 ‘샤이 찬성’ 표가 5명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가 지난 12일 탄핵안 찬성으로 돌아선 후 20명 정도로 추산되는 친한계 의원 중 다수가 찬성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당내에서는 친윤계와 중립지대에서도 보수 당원들의 눈치를 보느라 공개하지 않았지만 찬성표를 행사한 의원이 일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날 5시간30분에 걸친 마라톤 의원총회를 진행해 ‘탄핵 반대’ 당론을 유지키로 했다. 친윤석열(친윤)계와 영남·강원권 의원들이 탄핵을 저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쏟아냈다. 일부 의원들은 탄핵안에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내란 공모자로 명시된 점을 들어 반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국민의힘은 대신 집단 불참한 1차 탄핵안 표결 때와 달리 2차 탄핵안 표결에는 참여하기로 했다. 친윤계인 권성동 원내대표도 의총을 시작할 때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7일 1차 탄핵안이 국민의힘 불참으로 폐기된 후 소속 의원들이 지역구에서 ‘문자 폭탄’을 받는 등 민심의 거센 비난에 직면했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또 1차 탄핵안 폐기 후 김용현 전 국방장관, 조지호 전 경찰청장 등 내란 피의자들의 자백으로 윤 대통령이 ‘내란 수괴’라는 정황들이 드러났다. 윤 대통령이 내년 2월이나 3월에 하야하라는 여당의 ‘질서 있는 퇴진’ 제안을 거부하면서 한 대표가 탄핵으로 돌아선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이 지난 12일 대국민담화에서 반성과 사과는커녕 “비상계엄은 통치행위”라고 자신을 비호하면서 탄핵에 동참하는 의원이 늘어난 것으로도 분석된다.
탄핵안이 통과되긴 했지만 여당의 절대 다수가 반대한 점은 후유증을 남길 것으로 보인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 가결 때 국민의힘 전신인 새누리당 의원 128명 중 절반 가까이인 최소 62명이 찬성에 표결했다. 그에 비하면 이번엔 탄핵에 동조한 의원들이 소수에 그쳤다. 보수 진영에서는 박 전 대통령 때 234표나 찬성이 나왔던 것과 달리 이번엔 정족수를 간신히 넘겨 통과된 점이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도 고려될 것이라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