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계엄 사태에 민생경제 타격”···정읍, 민생회복지원금 푼다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계엄 사태에 민생경제 타격”···정읍, 민생회복지원금 푼다

입력 2024.12.15 11:42

이학수 정읍시장(오른쪽)이 12·3 내란사태에 항의하며 집무실에 걸린 국정목표 액자를 떼고 있다. 정읍시 제공

이학수 정읍시장(오른쪽)이 12·3 내란사태에 항의하며 집무실에 걸린 국정목표 액자를 떼고 있다. 정읍시 제공

지역화폐로 1인당 30만원씩 총 310억 지급···김제시 “전북 전체로 확대하자” 전북도에 제안

12·3 비상계엄 사태로 지역 경기 위축 조짐이 보이자 전북 지방자치단체가 민생 안정을 위한 지원금을 선제 투입해 활성화에 나선다.

윤석열 정부 들어 경기침체가 지속하면서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이 3년째 감소하고, 이에 따라 소비가 줄어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이어지는 가운데 계엄 사태까지 겹치자 가계 직접 지원을 통한 소비 진작으로 자영업자 매출을 올려 내수를 살리고 경기에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마중물을 주자는 취지다.

15일 전북 정읍시에 따르면 지역경제가 매우 어려워 시민 전체에게 30만원의 민생회복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11월말 기준 정읍시에 주민등록상 주소가 돼 있는 모든 시민이다. 결혼이민자와 영주권자 포함 10만 2647명이다.

지원금은 총 309억88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화폐로 지급되며 오는 23일부터 내년 5월 말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내수 경기 침체 속 민생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비상계엄령 발표로 인해 소상공인들이 다시 한번 큰 타격을 입게 됐다”면서 “지역사회에 온기가 돌고 꽉 막힌 골목상권의 숨통을 트이게 하려고 선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제시는 특정 지자체만 지급하기보다 전북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자고 제안하고 나섰다.

김제시는 지난 11일 전북도-기초자치단체 경제부서장 긴급회의에서 민생회복 지원금의 확대를 제안했다. 전북도와 시·군이 재원을 마련해 시민 전체에게 일정액의 지원금을 지급하자는 것이다.

이에 전북도 관계자는 “정부 지원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자치단체의 재원만으로 정책사업을 추진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비싱 상황인 만큼 도·시군 자치단체 간 협력을 통해 비상 대응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